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문화예술교육에서의 문학,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예술교육 - 서울예술교육센터 《감정출판》을 중심으로 -
  • 저자명|지가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심보선

주제어

문화예술교육, 성인 문화예술교육, 성인 글쓰기교육, 문학교육, 문학 문화예술교육, 문화적 실천, 문화교육, 문화예술교육정책, 문화민주주의, 랑시에르, 감정출판

국문초록

본 논문에서는 서울문화재단의 서울예술교육센터(감정서가)에서 진행된 문학 예술교육프로그램 《감정출판》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감정출판》은 에세이와 시를 쓰는 문학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커리큘럼과 뚜렷한 수업 목표가 있는 민간의 글쓰기 수업과 달리 등단을 목적으로 하거나 전업 작가가 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니며 자신의 내면을 탐색한 글과 문장의 기록을 직접 책으로 제작하는 출판 워크숍이다.《감정출판》은 현재 공공영역의 문화예술교육에서 크게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학’을 주제로, 문화예술교육 정책 안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며,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문화예술교육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문학’에 주목하면서 문학과 글쓰기로부터 비롯되는 예술경험의 교육적 가치와 의의를 탐색했다. 기존의 예술교육이 지식과 기예의 전수라면, 본 논문에서는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심미적 체험으로서의 예술교육을 살펴보면서 예술교육에 관한 일반적인 통념을 성찰해보고, 변화해 가는 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 제도와 정책 안에서 생겨난 시민들의 예술적 실천을 살펴보고, 공공이 시민과 예술의 매개공간으로써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랑시에르의 예술론과 교육철학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전제나 개념들을 분석하고, 재확인하며 그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본다. 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학 문화예술교육이 자기표현과 자기이해 및 성찰의 기회인 동시에, 타인과 함께 소통하고 공감하는 공적 영역을 형성하며, 주체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는 시민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을 드러낸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이 더 이상 단순히 지식이나 기예의 전수가 아니라 수용적 감상자나 소비적 향유자 이상으로 예술과 관계할 수 있게 하며 예술교육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예술생산의 주체로서 감성적 역량을 발휘하는 기회가 된다. 나아가 예술교육에서 문화교육으로 확장하면서 문화적 문해력(cultural literacy)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을 구현하고, 시민으로서의 덕목을 교육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된다고 본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예술교육을 통한 시민들의 예술 활동이 개인적인 창작과 표현활동에 머물지 않고 공론장을 형성하고, 문화적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비록 구체적인 하나의 사례분석에 머물지만, 이 논문의 발견은 문화예술교육 초기 담론이 지향했던 문화민주주의에 대해 재확인하고, 정책 안에서 문화민주주의 실천의 가능성과 한계를 드러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이론적으로뿐만 아니라 정책적 관점에서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영문초록

This paper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literary arts education program called “gamjeongchulpan” held at the Seoul Arts Education Center of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his program is a literary arts education program that focuses on writing essays and poems. Unlike nongovernmental writing classes with clear curricula and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it is not aimed at debuting as a writer or becoming a professional writer. Instead, it is a publishing workshop where ordinary citizens create books by directly recording their inner thoughts and sentences, emphasizing the exploration of one's own emotions. This study is notable for its attention to 'literature,' a subject that has not been adequately addressed in public cultural arts education. It is also noteworthy for being an educational program where ordinary citizens, who are relatively overlooked within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ies, actively participate on their own initiative.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value and significance of artistic experiences derived from literature and writing, which have not been well-addressed in conventional cultural arts education. The research focuses on recognizing the aesthetic experience as a form of artistic education where citizens actively participate, reflecting on common perceptions of art education. It aims to explore the changing paradigm of arts education. The study examines citizen’s cultural practices that arise within institutional and policy frameworks and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public institution as a mediator between citizens and the arts.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s and reexamines the foundations and concepts of cultural arts education through Ranciere’s art theory and educational philosophy, aiming to understand thei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e key finding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literary cultural arts education not only provides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self-understanding, and reflection but also creates a public sphere for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others. It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cultural arts education as a form of citizenship education, where individuals actively engage in society. Cultural arts education goes beyond the mere transmission of knowledge or skills. It enables individuals to engage with art beyond being passive observers or consumers. Arts education becomes an opportunity for individual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freely, acting as agents in artistic production and demonstrating emotional competence.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rts education, expanding into cultural education, can implement cultural literacy and educate virtues as citizen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artistic practices of citizens through arts education not only contribute to personal creativity and expression but also form public sphere and enable cultural practices. Although this study focuses on a specific case study, the findings of this paper reaffirm the cultural democratic ideals pursued in the early discourse of cultural arts education, shedding light o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ultural democratic practices within policies. It is possioble to provides insights not only from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ultural arts education but also from a policy perspective.

비고 : MCM-24.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