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거짓된 세계에서 들리는 사운드의 기이한 시간성 - 알랭 로브-그리예의 <거짓말하는 남자> 속 사운드를 중심으로 -
  • 저자명|박정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알랭 로브-그리예, 비동기화된 사운드, 다중적 시간성, 현재, 모리스 메를로-퐁티, 현상학적 환원, 키아즘, 세계-에로-존재

국문초록

본 논문은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영화감독인 알랭 로브-그리예(Alain Robbe-Grillet)의 영화 <거짓말하는 남자 L'homme qui ment>(1968)의 효과음 사운드에 주목하여 영화가 드러내는 독창적인 시간성인 ‘현재성’을 탐구한다. <거짓말하는 남자>의 효과음 사운드는 영화의 시공간에서 녹음된 여러 자연적 소리들을 이미지와 비동기화된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구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영화에서 사운드와 이미지가 동기화되는 경향과 다른 방식이다. 이러한 효과음 사운드의 실험적 구성은 로브-그리예가 이전의 작업에서부터 선형적 시간성을 거부하고 현재라는 시간성을 강조하기 위해 고안했던 방법인 서사 구조의 반복과 대립, 모순의 구성이 청각적 차원으로 확대된 것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효과음 사운드가 관객에게 지각할 때 발생하는 시간에 대한 기존의 고정관념에 거리를 두는 낯선 ‘현재’의 시간관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로브-그리예는 영화 속 시간을 현재로만 구성된 시간이라고 표현하였다. 그는 시간을 둘러싼 고정관념에 반기를 들며 수치화되고 객관적인 시간이 아닌 인간 주체 의식이 반영된 시간으로서 ‘현재성’에 주목한다. ‘현재성’의 매체로서 영화를 다루는 로브-그리예의 입장은 현상학자인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가 말한 세계와의 관계에서 ‘나’의 주체적 위치를 드러내는 존재로서 ‘현재’라는 시간과 공명하는 지점을 가진다. 본고는 이를 기반으로 먼저 로브-그리예의 <거짓말하는 남자>의 구조를 살펴본다. 대칭과 대립의 반복적 구조로 모순을 만드는 영화의 구조는 영화 속 인물과 사건을 고정적인 형태로 두는 것이 아니라 다변적인 형태로 만든다. ‘참’이라는 고정적 기준을 거부하는 영화의 방향은 결국 모든 모순과 가능성이 다발적으로 중첩되는 세계를 그리게 된다.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 사건뿐만 아니라 사운드에도 다중적인 근원이 형성된다. 하나의 사운드에 중첩된, 여러 시공간에 퍼져있는 근원들의 존재는 곧 시간을 비선형적으로 흩뜨리며 다중적 시간성을 형성하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효과음 사운드의 특징을 지각하는 관객의 입장에서 설명하기 위해 메를로-퐁티의 ‘꼴(figure)’과 ‘배경(fond)’의 개념을 빌려온다. 영화를 보는 관객의 능동성을 설명하는 메를로-퐁티의 개념은 <거짓말하는 남자>가 가진 매체와 시간에 관한 관객의 고정관념에 균열을 내고자 하는 실험적 태도를 현상학적 ‘환원(reduction)’의 작용으로 확장되며 세계를 인식하는 습관적 태도에 반발하고자 했던 로브-그리예의 의도를 구체화한다. 관객의 세계를 지배하는 관념과 영화 세계는 환원의 과정에서 얽히며 ‘키아즘(le chiasma)’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본고는 관객에게 작용되는 이러한 두 세계의 힘을 메를로-퐁티의 개념인 ‘애매성(la ambigui?te?)’의 차원으로 정리한다. 관객은 애매성의 차원에서 복합적인 시간관념을 얻게 되는데 이는 세계를 지향하는 ‘나’의 주체적 경향성을 증명하는 ‘세계-에로-존재(l?etre-au-monde)’로서 정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영화의 효과음 사운드가 강조하는 현재의 시간성은 관객의 신체적 주체성을 드러내는 시간으로서 기존의 관념과는 거리를 둔 독창적인 성질을 지니게 된다.

영문초록

This thesis examines French novelist and filmmaker Alain Robbe-Grillet's L'homme qui ment (1968), focusing on the sound effects used that characterize the film’s unique temporality and ‘present-ness.’ The sound effects in L'homme qui ment are composed of several natural sounds recorded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film that repeatedly reappear in an asynchronized manner with the images. This is a different approach from how sound and image tend to be synchronized in atypical film. This experimental organization of sound effects not only reveals the aural extension of the repetitions, confrontations, and contradictions of the narrative structure, a method Robbe-Grillet has used in his previous work to reject linear temporality and emphasize the temporality of the present, but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reating an unfamiliar sense of ‘present’ that distances the audience from conventional perceptions of time as the sound effects are perceived.
Robbe-Grillet describes time in the film as time composed only of the present. He rebels against the stereotypes surrounding time and focuses on ‘presentness’ as time that reflects human subjectivity rather than a quantified, objective time. Robbe-Grillet's approach to film as a medium of ‘presentness’ resonates with phenomenologist Maurice Merleau-Ponty's concept of ‘present’ time: an entity that reveals the subjective position of the individual in relation to the world. Based on this, this thesis will first analyse the structure of Robbe-Grillet's L'homme qui ment. The structure of the film, which creates contradictions through the repetitive structure of symmetry and opposition, does not position the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film in a fixed way, but in a variable way. The film's rejection of a fixed standard of ‘truth’ depicts a world of multiple contradictions and possibilities. Not only the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film, but also the sounds form multiple origins. The presence of multiple origins spread across time and space, layered in a single sound, soon creates a non-linear scattering of time and multiple temporalities.
This thesis uses Merleau-Ponty's concepts of ‘figure’ and ‘fond’ to characterize the film's sound effec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perceiving the film. Merleau-Ponty's concept of the active role of the audience's perception of cinema embodies Robbe-Grillet's intention to push back against habitual ways of perceiving the world, extending the experimental attitude of L'homme qui ment to the phenomenological act of ‘reduction’ in order to disrupt the audience's preconceptions about medium and time.
The ideas that dominate the audience's world and the cinematic world become intertwined in the process of reduction, forming a ‘chiasmatic(le chiasma)’ relationship. This thesis considers the forces of these two worlds acting upon the audience through Merleau-Ponty's concept of ‘ambiguity(la ambiguite)’. In the context of ‘ambiguity’, the audience acquires a complex sense of time, which can be summarized as ‘being-in-the-world(etre-au-monde)’, which points to the subjective tendency of the individual, oriented towards the world. In this context, the temporality of the present emphasized by the film's sound effects takes on an innovative quality that distances itself from conventional notions, revealing itself as a time that exposes the physical subjectivity of the audience.

비고 : MCA-24.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