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대중문화의 비평적 준거에 관한 연구: 숭고의 정치미학을 중심으로
  • 저자명|한송희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2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정치적 올바름, PC, 대중문화, 가치 판단, 질 평가, 비평, 숭고, 정치미학

국문초록

이 연구는 <82년생 김지영>(2016) 출간 이후 본격화된 국내 대중문화 내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이하 PC)’ 논쟁을 경유하여 대중문화의 가치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식론적 틀을 발명하고, 이를 대중문화 정치미학과 결부시켜 좋은 대중문화의 기준 범주를 이론화·개념화한 글이다.
통상 대중문화의 질 평가는 텍스트의 내용 및 형식을 모두 고려하여 이뤄지지만 이것이 ‘좋다’는 가치 판단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후자는 더 많은 주관성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그래서 판단 주체의 개인적인 경험과 그것에 이해를 제공하는 특정 시공간 속 가치 체계는 중요한데, 국내 대중문화 담론의 경우 전통성, 민속성, 민족성, 민중성 등의 기표를 내세우면서도 ‘시대 정치에 대한 비판적 개입과 억압적 권력에 대한 도전’이라는 의미에서 ‘저항성’을 가치 규준으로 삼아왔다. 그러다 1990년대 ‘대중성’이 새로운 기준 범주로 부상하면서 가치 기준의 급격한 탈정치화·탈역사화 문제가 대두되었는데, 이런 위기 서사는 사실상 문화 담론 내부에 존재하는 ‘저항의 위계’를 반증하는 것이며 이는 미학과 문화연구가 오랫동안 방치해둔 이론적 공백이기도 하다.
이에 이 연구는 상이한 저항적 문화 형식을 병치시킴으로써 저항성의 미묘한 차이를 드러내는 한편, 논의의 확장을 위해 저항성을 공공성의 하위 가치로 간주하면서 상업성과의 공존 가능성을 타진했다. 아무리 자본 논리를 따르는 상업적 문화 형식이라도 타인에 대한 이입과 공감, 소통, 풍자, 낯설게 하기 등을 가능케 하는 장치가 포함된다면 공동체적 삶과 공동의 이익을 도모하는 공론장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업성 안에서도 공공성과 저항성은 공존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의 PC 문화 실천은 행위자들의 끊임없는 자리옮김과 호흡 주고받기를 통한 다중 위치성에 대한 중첩적 인식, 그리고 이를 통한 당사자 범주의 확장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런 대안 정치의 가능성은 ‘숭고’ 개념을 재해석함에 따라 좋은 대중문화의 조건으로 개념화·이론화된다. 숭고는 본래 압도적인 자연경관에서 비롯되는 한계 경험과 그로 인한 주체의 고양을 뜻하지만, 포스트모던 세계에서는 문화예술과 같은 일상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초과적 사건, 즉 근원적 ‘불가능성’으로 재의미화된다. 이에 따라 숭고는 감각 대상과 주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일차적인 미적 경험만이 아니라 그것을 매개로 촉발되는 담론적·사회적 체험까지도 모두 포괄하는 언어가 되는데, 여기에 심화된 자본주의라는 조건이 덧붙여지면서 숭고는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시대적·사회적 모순, 주체와 세계 사이의 이율배반, 주체의 내부적 갈등 등과 같은 거대한 (이해·설명·재현) ‘불가능성’으로 확장된다. 긴장, 대립, 균열, 불화, 충돌, 소멸, 상실 등을 가시화하는 언어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다.
숭고는 자기동일성, 자기확실성, 자기순환성을 지니지 못하는 사이-주체가 자기 자신과 세계의 불가능성을 증언하는 동시에 개인으로서의 대중을 집단으로서의 대중과 우연적으로 조우시킨다는 점에서 정치미학의 용어가 된다. 대중문화가 고통, 상처, 모욕, 비참, 절망 등과 같은 감정을 촉발시킴으로써 숭고의 계기를 제공할 때, 세계와 주체 사이에 놓인 ‘몸’은 주체가 타인의 삶을 적극적으로 상상하고 자신을 대입하면서도 완전히 합치될 수 없다는 깨달음과 그럼에도 연결되었다는 착각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복합적인 상상의 장소이다. ‘상상력(지성)’이라는 생명 에너지의 발현으로 주체의 불완전함, 위태로움, 취약함, 연약함 등에 대한 공감이 생겨나고 이로 말미암아 다양한 종류의 불확정적 마주침 및 광범위한 연대-자기 자신과의 만남, 타자와의 만남, 세계와의 만남 등-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좋은 대중문화란 도덕적이거나 정치적이거나 미학적이기만 할 것이 아니라 그것들의 모든 계기를 함축하는 가변적, 역동적, 개방적, 관계적 문화여야 하며, 특히 숭고의 공간을 열어내는 문화여야 한다.
이 연구는 좋은 대중문화의 기준적 요건을 파악하고 그것을 대중문화 정치미학의 구체적인 언어로 정립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대중문화 ‘내에서’의 가치 판단은 우리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문화적 현실이지만 그간의 이론 및 비평은 이를 등한시하고 여전히 고급 미학과의 대립에만 몰두하거나 통약 불가능한 취향 문화의 존중만을 외쳐왔다. 그 결과 세계의 균열과 심화된 모순, 급변하는 문화적 풍경을 설명하거나 분석할 만한 개념적 도구가 주어지지 않은 것은 물론, 현재적 국면에서 대중문화의 정치미학을 견인할 만한 이론적 구심점마저 상실하게 되었는데, 그러한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더 적극적인 이론과 비평의 개입이 필요하다. 인류의 도덕적, 미학적, 정치적 진보에 기여하는 좋은 대중문화는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창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좋은 대중문화에 대한 상상이 더 활발해질 때 비로소 대중문화의 정치미학이라는 미완의 프로젝트가 다시 시작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invented a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framework that grasps the value of Popular Culture through the lens of ‘Political Correctness’ debates in Korean Popular Culture since the publication of Kim Ji-young, Born in 1982(2016), and theorized what makes Popular Culture good.
Usually, the quality evaluation of popular culture done through considering both the content and format of the text, but this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value judgment of good, which is a complex process that involves more subjectivity. Therefore, the personal experience of the judging self and the value system from a specific space-time that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are important. In the case of Korean Popular Culture discourse, ‘resistance’, as in ‘critical intervention in the historical bloc’ and ‘challenge to oppression’, has been used as the value criterion, while emphasizing signifiers such as ‘traditionality’, ‘ethnicity’, and ‘nationality.’ Then, as ‘popularity’ emerged as the new standard in the 1990s, the issue of de-politicization and de-historicization of value criterion emerged rapidly. These narratives of crisis actually disprove the 'hierarchy of resistance' that exists within the cultural discourse, which is a theoretical void that has been long neglected by Aesthetic and Cultural Studies.
Accordingly, this study revealed subtle differences in resistance by juxtaposing different forms of resistance, while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its coexistence with ‘commerciality’, viewing ‘resistance’ as a sub-value of ‘publicity’ to broaden the discussion. In the commercial form that follows the logic of capital, once devices that enable empathy, communication, and satire with the others are included, so they can serve as a ‘cultural public sphere’ that promotes the common life and common interests. In other words, ‘Publicity’ and ‘Resistance’ can coexist even within ‘Commerciality.’
The current PC culture practice is characterized by the constant repositioning of actors, the overlapping awareness of multi-locationality through breath together, and the expansion of ‘the party’ category through it.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Politics, derived from this, is conceptualized and theorized as a prerequisite for good Popular Culture by reinterpreting the concept of ‘the Sublime.’ Originally, the Sublime refers to the marginal experience that originates from overwhelming natural scenery and the subsequent upliftment of the subject. However, in the postmodern world, it is reinterpreted as an excessive event that occurs in a daily lives.?As a result, the Sublime becomes a language that encompasses not only primary aesthetic experiences between the object and the subject, but also discourse and social experiences triggered by them.?In addition, with the condition of deepening capitalism, the Sublime expands to huge (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representation) ‘the impossible’ that are the contradiction of the times and society at a fundamental level, the antagonism between the subject and the world, and the internal conflict of the subject. The Sublime is reborn as a language that visualizes tension, confrontation, rift, discord, conflict, annihilation, and loss.
Tthe Sublime is a political-aesthetic concept in that it promotes the redistribution of senses while making them be aware of the impossible that lies outside the existing system of representation.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political-aesthetics term in that it converges ‘the popular as an individual’ with ‘the popular as a group.’ When Popular Culture provides a sublime opportunity by triggering emotions such as pain, wounds, insults, misery, and despair, the 'body' placed between the world and the subject becomes a complex imaginary place that simultaneously evokes the realization that they cannot fully coincide and the illusion that they are still connected. The manifestation of the life energy called 'imagination(intelligence)' creates empathy for the subject's imperfection, precariousness, vulnerability, and weakness, resulting in various types of uncertain encounters and extensive solidarity - meeting with oneself, meeting with others, and meeting with the world. Therefore, good Popular Culture should not only be moral, political, or aesthetic, but should also be a variable, dynamic, open, relational culture that implies all of their moments, especially a culture that opens up a space for the Subl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standard requirements for good Popular Culture and established them as a specific language of political-aesthetics of Popular Culture. The value judgment of Popular Culture from within is a cultural reality deeply embedded in our daily lives. However, theories and criticis have neglected this and have been focused only on confrontation with high-quality aesthetics or exclaimed respect for a culture of taste that cannot be generalized.
As a result, conceptual tools for explaining or analyzing the ruptures in the world, deepening contradictions, and rapidly changing cultural landscapes were not yet found, and even the theoretical pivot to drive the political-aesthetics of Popular Culture in the current situation was lost.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more aggressive theories and criticisms are needed. This is because good Popular Culture that contributes to the Moral, Aesthetic, and Political progress of mankind is not discovered, but created. Therefore, this study asserts that the unfinished project of the Political-Aesthetics of Popular Culture can resume only when they imaging ‘Good Popular Culture’ becomes more active.

비고 : PVC-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