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게이밍 실천을 통한 게임의 초국가적 양상에 관한 연구 ?현지화 모딩을 중심으로
  • 저자명|박수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게이밍, 게임의 초국가성, 한글패치, 게임 플레이, 게이머, 현지화, 모딩

국문초록

이 연구는 게이머의 문화 실천인 현지화 모딩을 게이밍 실천으로 보고, 현지화 모딩이 게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게임의 초국가적 양상을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지 탐구한다. 초국가성은 지금까지 게임의 본질적인 특성으로 인식되어왔다. 일반적인 인식에는 지금까지 논의되어 온 게임의 초국가성이 게임 텍스트 자체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러나 게임의 구성요소에 있어서, 게임 텍스트뿐만 아니라 게이머의 존재는 필수 불가결한 존재이다. 이러한 점에서 게임의 특성을 살펴보는 데에 있어서, 게이머와 이들이 행하는 게이밍의 영향력을 빼놓을 수 없다.
‘한글패치’라 불리는 한국 게이머의 현지화 모딩은 게이머의 게임 플레이와는 별개로 게임 텍스트의 초국가성에서 파생된 문화 실천으로 간주되어왔다. 그러나 현지화 모딩은 게이머가 게임을 즐기기 위한 게이밍 실천으로 바라볼 여지가 있었고, 이를 통해 게임에 참여하면서 게임의 문화적 의미와 특성을 만들고 있었다. 이에 주목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참여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현지화 모딩 과정과 이에 참여하는 게이머의 방식, 인식, 동기 등을 파악했다.
현지화 모딩은 게이머들이 번역가, 기술자, 관리자의 세 가지 역할을 바탕으로 참여하는 참여문화 실천이다. 이 과정에서 번역과 기술 개발에 대한 두 가지 논의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현지화 모딩은 게임 팬 번역과 모딩 생산의 복합적인 형태를 띠는 문화 실천이다. 여기서 본 연구는 현지화 모딩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를 확인했다. 그러나 현지화 모딩은 여전히 자발적인 자유노동의 한계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러한 측면의 동기는 게이머의 꾸준한 모딩 참여 동기로 작동하고 있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이머들은 현지화 모딩에 계속해서 참여한다. 그 이유에는 게임 텍스트를 번역하거나 모딩을 하면서 얻게 되는 게임의 여러 즐거움과 게임 경험의 확장에 있었다. 게임 플레이의 확장적 개념인 메타게임 플레이와 게이밍을 통해 현지화 모딩을 분석하여, 게이머들의 참여 방식이나 동기, 인식, 의미 등은 게이밍 실천의 밑바탕이 됨을 밝혔다. 이처럼 현지화 모딩은 단순 참여문화 실천을 넘어서 게이밍 실천으로 이루어지는 게임을 구성하고 결정짓는 참여 방식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지화 모딩에서 나타나는 게이머의 행위들은 게임의 문화적 특징과 양상을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현지화의 측면에서 게임을 보다 초국가적으로 만들었다. 현지화 모딩에 관한 게이머의 인식과 참여 동기에는 타국에서 생산된 게임을 자신들의 지역과 문화로 수용하기 위함에 있었다. 현지화 모딩에 수반되는 다양한 전략은 게임을 점차 초국가적인 텍스트로 바꿔나갔다. 게임 팬 번역은 게임 내 텍스트를 언어 수정뿐만 아니라 텍스트가 가진 의미를 혼종적으로 바꿔나간다. 이 과정은 게임 텍스트가 초국가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문화 실천이었다. 모딩 기술 개발은 게임 기술이 내포하고 있는 지역성을 극복하기 위함에 있다. 이러한 실천은 ‘폰트’나 게임 UI와 같은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여 초국가적 소비와 수용의 기반을 형성한다. 두 가지 실천을 결합한 현지화 모딩은 게임의 초국가적 수용 기반 형성과 동시에 게임의 초국가적 양상을 형성하는 게이머의 게이밍 실천이다.
본 연구는 게이머의 문화 실천과 게임의 초국가성에 관한 기존 논의와 다르게, 게이머의 문화 실천을 적극적인 게이머의 참여인 게이밍으로 보고, 이를 통해 게임의 초국가적 양상이 형성된다는 다른 접근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통해 형성되는 게임의 특성은 게이머에 의한 게임 생산과 소비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또 다른 양상임을 보여주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This study looks at localization modding as a gaming practice, a cultural practice of gamers, and explores how localization modding is affecting and shaping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gaming. Transnational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intrinsic characteristic of games. The common perception is that the transnationality of games discussed so far arises from the game text itself. However, the presence of gamers as well as the game text is indispensable to the components of a game. In this respect, the influence of gamers and their gaming practices cannot be overlooked when looking at the nature of games.
Korean gamers' localization modding, called 'Korean Patch', has been considered as a cultural practice that emerges from the inherent transnationality of games and as a derivative practice apart from gamers' gameplay. However, there is room to view localization modding as a gaming practice that gamers engage in for the sake of enjoying games, and in doing so, they are creating cultural meanings and aspects while participating in games. In this study, we used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understand gamers' participation, perceptions, and motivations in and around the localization modding process.
Localization modding is a participatory cultural practice that involves gamers in three roles: ‘translator’, ‘technician’, and ‘manager’. In this process, we can see two different ways of discussing transl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Localization modding is a cultural practice that takes the form of a hybrid of fan translation and modding production. However, it still shows the limits of voluntary free labor in terms of fandom practices.
Nevertheless, gamers continue to engage in localization modding. This is due to the multiple pleasures of gaming and the expansion of the gaming experience that can be derived from translating or modding game texts. By analyzing localization modding through the lens of metagame play and gaming as an extension of gameplay, we found that gamers' modes of participation, motivations, perceptions, and meanings underlie their gaming practices. As such, localization modding is not just a practice of participatory culture, but a mode of participation that constitutes and determines the games played as a gaming practice.
In this sense, gamers' actions in localization modding are shaping the cultural features and aspects of games, especially in terms of localization, making games more transnational. While gamers' perceptions of games were ambivalent between transnational and local, their perceptions and motivations for localization modding were driven by the desire to bring games produced in other countries into their own region and culture. The various strategies involved in localization modding gradually transformed games into transnational texts. Fan translations of games not only modify the language of the in-game text, but also hybridize the meaning of the text. This process was a cultural practice that made game texts transnationally acceptable. The development of modding techniques aims to overcome the localization implicit in game technology. These practices overcome technical limitations such as fonts, UI and system to form the basis for transnational consumption and acceptance. Combining both practices, localization modding is a gamer's gaming practice that shapes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gaming while simultaneously creating a foundation for transnational acceptance.
In contrast to existing discussions on gamers' cultural practices and the transnationality of games, this study offers a different approach by viewing gamers' cultural practices as active gamer participation, which shapes the transnationality of games. It also aims to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ames that are shaped through this are another aspect of the interplay betwee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ames by gamers.

비고 : MCS-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