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인간과 비인간의 창발적 ‘함께-되기’로서 인공지능 예술 창작 : 신유물론과 정동이론을 통해 본 창작 과정
  • 저자명|양소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인공지능 예술, 인공지능, 예술, 창작, 신유물론, 정동이론, 연결망, 창발성, 미학정치, 브라이언 마수미

국문초록

이 연구는 인공지능 활용 예술 창작의 현재를 다양한 창작자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그 미래를 정향해가는 변화의 기미를 포착해보고자 했다. 이는 예술 개념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의 사건 한 가운데서 시작해 예술 전반의 이행 양상을 가늠해보고자 하는 시도다. 인공지능과 예술 또는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립을 논하는 데에 치중되어 있던 기존 연구의 흐름에서 간과되어 온 그 ‘사이’의 작용들을 짚어볼 필요성이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다. 기술과 예술, 또는 예술과 삶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분절적 시각은 특정 범주 안으로 새로운 사건들을 봉합해버리는 탓에 인공지능 활용 예술이 배태한 가능성을 탐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보다 생산적인 논의로 나아가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개체중심적 시각을 넘어 인간-비인간의 상호구성적인 관계를 볼 수 있는 신유물론과 정동이론의 관점을 차용했다.
인공지능이 예술창작에 제기하는 논점들은 디지털 기술의 부상 시에 나타난 것들과 공명하는 데가 있다. 이에 포스트미디어 및 매체미학 이론을 통해 디지털 기술이 예술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구하는 거시적, 미시적 관점 각각을 짚어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들은 예술 창작에 미치는 경제구조 또는 행위자의 감각 중 어느 하나의 결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면, 신유물론과 정동이론은 각각의 층위들 사이의 관계를 들여다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그 분리를 극복하는 대안적 시야를 마련해준다.
한편, 예술에 미치는 디지털 기술의 영향력을 강조하는 논의들은 예술 창작이 기술의 작동방식과 점차 유사해져가는, 사회 일반의 작동 방식을 반영하며 예술과 삶 사이의 경계가 사라져간다는 공통된 논의로 나아간다. 이러한 경계확장적 논의들은 근대 이래로 예술의 고유성과 정치성을 지탱해주던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또 다른 대립을 낳고 있다. 이는 복제 기술의 등장 시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한편에는 예술의 자율성을 부정하며 예술의 민주화로부터 사회정치적 가능성을 엿보는 논의들이, 다른 한편에는 예술의 상대적 자율성을 주장함으로써 예술 그 자체의 특수성으로부터 사회정치적 힘을 발견하는 논의들이 있다. 이 역시 ‘자율’의 개념을 새로이 정립하여,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고유성과 미학-정치성을 제시하는 신유물론과 정동이론의 관점을 통해 보완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잠재적 차원을 포괄하는 들뢰즈 기반의 신유물론과 정동이론의 존재론에 입각하여, 현행적 수준에서의 행위자들 간 권력 차이와 잠재적 수준에서의 평등한 지위를 아울러 보는 관점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이로부터 정동적인 차원에서 발생하는 권력의 작동과 이에 대한 대항정치적 실천을 사유할 수 있는 이론적 도구를 얻었다. 특히 정동이론가 브라이언 마수미(Brian Massumi)의 이론은 창작과정에서 인간 창작자들과 인공지능의 미학정치적 활동을 들여다보는 주요한 분석 틀이 되어주었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술 창작은 한편으로 인공지능의 몸체를 가로지르는 자본권력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창작자들의 몸체를 가로지르는 자본, 국가, 예술계 권력에 의해 이중적 포섭 상황에 놓여있었다. 이는 직업적 창작자들과 비직업적 창작자들 각각이 속한 배치 위에서 그들을 서로 다르게 정동하며 창작양태에 차이를 자아내고 있었다. 특히 직업적 창작자들과 비직업적/준직업적 창작자들은 각각의 배치를 유지해나가는 식의 관습적인 창작을 이어나가는 것으로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과의 마주침은 창작 가운데 잠재를 지각하게 함으로써, 창작자들의 미리 틀지어진 사고나 행위들을 확장해가는 측면이 있었다. 이는 예술 창작 그 자체가 여러 행위자들 간의 창발적 작용이라는 점에서도 연유하지만 무엇보다 인공지능 자체가 창발성을 그 속성으로 한다는 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였다. 인공지능의 타자성과 창발성은 창작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한계를 마주하고 인공지능을 포함한 다른 행위자들과 ‘함께-되기’를 이루어가도록 유도하는 측면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그 자체로 상황의 잠재를 지각하도록 할 뿐 아니라, 창작자들이 인간-비인간 행위자들과 연결의 감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도 그 미학정치적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현재 인공지능 활용 예술 창작의 복잡한 관계의 지형도를 그려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활발한 ‘대중’ 정동과 비교하여 ‘고급예술’ 지형의 정동이 점차 빈곤해져 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예술이 무엇인지를 구성해가는 힘이 어디로 기울어 가는지를 예감하게 하는 데가 있다. 그러나 예술은 단지 개념이 아니라 다양한 행위자들이 ‘함께-되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가는 과정이다. 인공지능 활용 예술에 대한 논의들은 대개 이 같은 ‘이행’의 측면을 놓침으로써 너무 빨리 결론으로 다다르곤 했으나, 이 연구는 유동적이며 뒤얽혀있는 관계와 잠재적 작용들을 포괄하여 현재 인공지능 활용 예술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그려보려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This study tried to capture the signs of change toward the future by examining the present of art cre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e experiences of various creators. This is an attempt to measure the overall transition of art, starting in the middle of the event of creation rather than starting from the concept of art. Its purpose lies in a ne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between'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most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 or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Such dichotomous approach that emphasizes technology over art, art over life, or vice versa often fails to detect new phenomena and the possibilities of ar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in order to move toward a more productive discussion, I borrowed the perspectives of New materialism and Affect theory that can see the mutually construc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beyond the object-centered perspective.
The issue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raises in arts creation are in resonance with those that emerged during the rise of digital technology. In this regard, this study takes both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s in exploring the influences of digital technology on art, applying Post-media and Media-aesthetic theory. While these discussions allow us to examine the decisive influence of either the economic structure or the sense of the actor on the creation of art, New materialism and Affect theory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overcome the separation and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spective areas.
On the other hand, discussions emphasizing the influence of digital technology on art often lead to a conclusion that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life is disappearing because art creation reflects the general operation of society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echnology. These boundary-expanding discussions raise questions about the autonomy of art, which has supported the uniqueness and politics of art since modern times, creating another kind of confrontation. This has been going on since the advent of reproduction technology: while some deny the autonomy of art and examined the sociopolitical possibilities from the democratization of art, and others insist on th relative autonomy of art and discover sociopolitical power from the specificity of art itself. This has also established the concept of 'autonomy' anew, and tried to supplement it through the perspectives of New materialism and Affect theory that present uniqueness and aesthetics-politics in relationships. In particular, based on the ontology of Deleuze-based new materialism and affect theory that encompasses the potential dimension, this study sought to the expansion of the perspective to see the difference in power between actors at the current level and equal status at the potential level. From this, a theoretical tool was obtained to think about the operation of power occurring at the affective level and the political practice against it. In particular, Affect theory of Brian Massumi served as a major analytical framework to look into the aesthetic and political activities of human creato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rocess of cre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rt cre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as placed in a dual situation of being subsumed by the power of capital crossing the bo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one hand, and the power of capital, the state, and the art world crossing the body of creators on the other hand. This created a assemblage in creators affects each other differently upon the assemblage to which each creator has belonged, and this could be seen as a recreation of the arrangement. Nevertheless, the encounter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had the effect of expanding the preconceived thoughts and actions of each actor who would perceive a potentiality in the midst of creation. This is not only due to the fact that art creation itself is an emergent action among various actors, but also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tself has emergence as its attribute.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to induce creators to ‘become-with’ others,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its micropolitical possibility in that it enabled a sense of connection with human and non-human actors.
What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by drawing a topographical map of the current complex relationship of cre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as that the affect of the topography of ‘high art’ seemed to be gradually impoverished compared to active mass affect. This foresees where the power to construct art is going in a capitalist society. However, art is not just a concept, but a continuous process through which various actors ‘become-with’ each othe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rt has tended to jump to conclusions too quickly by overlooking the action of 'between',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possibilities of the current landscape of arts creation, including the complexity of relationships and potential levels.

비고 : MCS-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