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시적’ 그리고 ‘수필적’ 텍스트 풍경에 관한 연구
  • 저자명|박지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텍스트, 텍스트 풍경, 시적 텍스트 풍경, 수필적 텍스트 풍경, 예술적 텍스트, 타이포그래픽 텍스트, 텍스트성, text, text-scape, poetic text-scape, essayistic text-scape, artistic text, typographic text, text-ness

국문초록

본 논문은 텍스트, 그 자체가 가진 ‘시각적 외형’에 대한 관심에서 기인하였다. 텍스트를 미적 관조의 대상으로 인식함으로서 ‘텍스트 풍경’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제안한다. 또한 텍스트 풍경을 두 갈래의 형식 ‘시적’ 그리고 ‘수필적’ 텍스트 풍경’으로 나누어 논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1장에서는 텍스트 그 자체의 외적 특질만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기 위해서 ‘타이포그래픽 텍스트(typographic text)’라는 새로운 용어를 도출하고 이의 범위를 규정한다. 우선 타이포그래픽 텍스트는 마이크로 타이포그래피에 해당하는 세부적인 영역보다는 매크로 타이포그래피(macro-typography)와 관련된 지면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에 초점을 둔다. 그리고 쪽 번호나 그래픽 요소들과 같이 본문 만큼에 준하는 특별한 위상의 개념적 요소들을 타이포그래픽 텍스트의 범주로 모두 포괄한다.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보조적이지만 없어선 안 되는 주변의 모호한 구성원들의 관계를 통해 만들어지는 지면의 ‘총체적인 인상’을 살펴본다. 아울러, 타이포그래픽 텍스트가 지면에 ‘인상화’되어지는 것을 타이포그래피적 텍스트성(text-ness)으로 정의 내린다. 한글 타이포그래퍼 안상수가 논의한 활자성(type-ness)을 검토하여 낱활자의 요소적이고 유희적인 특성과 대조적으로 텍스트성이 가지는 특성을 도출한다. 타이포그래피적 텍스트성은 ‘무리의 활자들’에 의해서 지면에 인상화 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이고, 구조적인 특성의 가지고 있다. 2장에서는 ‘풍경’의 개념 설명을 바탕으로 ‘보는’ ‘텍스트 풍경’을 정의내리고, 선구자들의 사례를 통해 ‘텍스트 풍경다움’이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타이포그래픽 텍스트의 전체적이고 관조적인 성질과 ‘풍경’이라는 용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서로 자연스럽게 맞물리는 것을 발견한다. 그리고 이어서 ‘보는 타이포그래픽 텍스트 풍경다움’을 밀도, 배열의 구분 기준에 기대어 다양한 시각적 표현 기법들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핵심장인 3장에서는 문학의 두 갈래 운문과 산문에서 도출한 문학적 특성을 텍스트에 전이시켜 ‘시적’ 그리고 ‘수필적’ 텍스트 풍경의 시각적 서술법을 분석한다. 먼저 운문이라는 정해진 일정한 반복을 통해 리듬을 가지고 있는 형태의 문학적 특성에 기대어 시, 시적인 것, 시적 이미지, 그리고 시적 공간을 구체적으로 살핀다. 시 자체가 아닐지라도 표현 형식으로서 미적 가치를 불러일으킨다면 대상을 불문하고 ‘시적인 것’이라 불릴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시적 이미지를 자아내는 두 성질로 ⓐ 운율성과 ⓑ 회화성을 도출하였다. 시의 형식적인 측면에 의해 형성된 규칙적인 외형적 리듬인 운율성은 다시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적인 것과 회화적인 것이 관통하는 지점에서 발견된 회화적인 표현 방법은 시적 감성을 불러일으킨다고 정리하였다. 무엇보다 전일적인 측면에서 시적 감흥을 불러일으키고 미적 가치를 발발하는 압축된 시적 공간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는 것을 발견해 낼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산문정신이 잘 드러나는 수필의 문학적 특성에 기대어 ‘수필적인 것’을 도출하고 구체화하였다. 의식적인 동기에서 제작된 다른 장르의 문학들과 달리 ‘쓰다 보니 수필이 된 것’이라는 수필의 최초 제작 동기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비정형적인’, ‘규칙성이 없는’, ‘자유분방한’, ‘꾸밈없이 순수한’, ‘털털하지만 품격이 떨어지지 않고 나름의 위엄 있고 진지한’과 같은 꾸밈의 말로 ‘수필적인 것’을 이해하였다. 따라서 대표적인 수필적 이미지는 특별한 가공 없이 생긴 글줄의 형태, 끝 행의 형태가 들쑥날쑥하고 고르지 못하다고 여겨지는 글줄의 자연스러운 흘림의 방식으로 전이시켜 해석하였다. 이를 ⓐ 불규칙한 리듬의 수필적 이미지로 규정하였다. 이어서 연구자는 수필의 다양한 문체 가운데 만연체와 간결체를 주목하였다. 시각적으로 서술적이고, 설명적이며, 무겁고, 빽빽한 ⓑ 만연체적 이미지, 그리고 상대적으로 짧고 명료한 ⓒ 간결하고 건조, 담백한 이미지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만연체적 이미지는 비교적 긴 호흡의 단조롭고 지루해 보일 수 있는 이미지이다. 빈 공간보다 텍스트의 양이 풍부할 때, 글줄이 조밀할 때, 양끝 맞추기 정렬이 되어 있을 때, 그 인상이 더욱 부각된다. 간결하고 건조한 이미지는 비교적 짧은 호흡의 단문의 형식으로 엮긴 간단한 정보들의 단순, 명료한 이미지이다. 마지막으로 이 두 시각적 서술 기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시적 발상의 수필적 풍경에 대한 분석으로 본 장을 귀결한다. 이를 통해 텍스트를 독립적인 예술로 인식하고 텍스트의 예술적 표현 가능성에 대해 알아본다. 하지만 텍스트 풍경을 바라보는 유일한 하나의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텍스트의 기능적인 목적이 모호해지는 지점을 새롭게 바라보고, 독자적인 예술 장르로서 그의 외연을 넓히는 것에 의의를 둔다.

영문초록

This thesis is based on an interest in ‘visual appearance’ of text itself. A new term ‘Text-scape’ is suggested by recognizing text as an artistic material and recognizing it as a subject of aesthetic contemplation. I also aim to analyze the ‘Text-scape’ in two types, ‘poetic’ and ‘essayistic’ Text-scape. In Chapter 1, a new term “typographic text” is derived and its scope is defined in order to focus only on the external features of the text itself. First of all, the typographic text focuses on the ‘macroscopic layout’ associated with macro-typography, rather than focusing delicat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micro-typography. It also encompasses elements, such as page numbers, punctuation marks and graphic elements which have not been paying attention as body text. Through a variety of examples, I examine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body text that has its own macro-aesthetic qualities. In addition, the shape of composed text printed on a surface of page is defined as typographic ‘Text-ness.’ In Chapter 2, I define ‘Text-scape" based on an idea of ‘landscape.’ I find that the properties of overall and contemplative on typographic tex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 ‘landscape’ meet naturally. Then, I thoroughly examine various visual expression techniques by leaning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density of text’ and ‘alignment of text.’ Finally, in Chapter 3, the core chapter of this thesis, I investigate the two types of ‘poetic’ and ‘essayistic’ Text-scape influenced by verse and prose. First of all, to validate the character of ‘poetic Text-scape,’ I attempt to analyze a form of literature that uses aesthetic and rhythmic qualities of language, poetry. Even if it is not the poem itself, it has been found that it can be called a poetic-thing if it invokes an aesthetic value as the expression form. And the two qualities that give rise to the poetic image have largely derived ⓐ ‘a repetitiveness’ and ⓑ ‘a painterly-ness.’ Above all, I realize that the implicated poetic space that evokes poetic inspiration and aesthetic value makes it more powerful. Secondly, I elicit and embody ‘essayistic Text-scape’ that leaned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essay. Unlike other literary genres are primary produced under a condition of conscious motivation, essay is produced under an uncertain purpose. Therefore, ‘essayistic-thing’ is understood as terms something like ‘atypical,’ ‘without regularity,’ or ‘innocently innocent.’ Then, it is defined as ⓐ ‘a image of irregular rhythms’ having a shape of jagged and uneven alignment text. Also, in terms of a style of writing, it is defined as ⓑ ‘the image of visually diffused(prolix) style’ and ⓒ ‘the image of visually concise style.’ Finally, I conclude this chapter with an analysis of a complex aspect of both ‘poetic’ and ‘essayistic’ Text-scape. In conclusion, instead of presenting a single point of view of the Text-scape, I will newly recognize the point where the functional purpose of the text becomes ambiguous. In addition, I try to expand the typographic text into the independent artistic genre.

비고 : MCD-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