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사용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 서비스 기획: 인지와 통제를 제공하는 ‘프라이버시북’ 애플리케이션 제안
  • 저자명|박선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 문맥적 무결성, 사용자 인식, 개인정보, 데이터, 인지, 통제, 애플리케이션

국문초록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스마트 홈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 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는 법률적, 기술적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사용자의 실제 인식과 경험을 배제해 효과적인 프라이버시 메커니즘을 창출하지 못했다. 특히 스마트 홈은 아직 보편화 되지 않은 단계에 있어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용자들의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 서비스를 기획하여 스마트 홈 환경에서 사용자들에게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을 제공하고 통제 권한을 부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를 알아보기 위해 스마트 홈의 정의와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스마트 홈 인터랙션 모델을 도출하였다. 스마트 홈은 사용자, 스마트 기기, 클라우드를 개체로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정보와 데이터를 수집, 처리하며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상호작용 속에서 다뤄지는 개인의 정보와 데이터에 대해 문맥적 무결성 이론을 적용하여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에 대한 적절한 정보의 흐름을 사용자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용자들은 스마트 홈에 대한 낮은 이해도를 보였고 이는 막연한 프라이버시를 유발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 홈의 개인정보와 데이터 사용에 대해 알려주고 통제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메커니즘이 부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물리적 차단, 사용 중단 등의 극단적 조치를 취하거나 체념적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마트 홈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스마트 홈 멘탈모델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개인정보와 데이터 사용에 대한 정보 규범을 제시하고 통제 권한을 부여 할 것을 제안하였다.
제안점을 바탕으로 ‘프라이버시북’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스마트 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개인정보와 데이터에 대한 통제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기획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서비스는 스마트 홈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스마트 홈 구조도를 디자인요소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연결과 정보 규범을 제시하였고, 통제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모니터와 컨트롤을 디자인요소로 활용하였다. 제작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개선사항을 반영하여 최종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구체적인 서비스를 제안하고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주요 부분인 사용자 조사는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 기여하는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스마트 홈 프라이버시에 대한 기존의 법률적, 기술적 접근을 보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용자의 인식을 반영한 서비스를 제시하여 실무적 의의를 지닌다.

영문초록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IoT) raises concerns about privacy in the new digital environment. Privacy in the IoT environment, however, has focused on legal and technical research, which often excludes us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Smart homes raise more concern about privacy due to its proximity to the home which is generally thought of as a private sphere.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in smart home privacy which results in a lack of effective privacy mechanisms in the smart home environm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ers’ perceptions of smart home privacy and suggest a smart home privacy application ‘Privacy Book’ to provide user awareness and control over privacy in the smart home environment.
In order to understand smart home privacy, the study introduces a smart home interaction model that identifies interaction elements and information flow. The study applies Nissenbaum’s Contextual Integrity to dissect information flow in the smart home environment to investigate the user’s perception of smart home privacy. Users showed a lack of understanding of smart homes, which caused ex-ante concerns about privacy in smart homes. Additionally, there was a lack of privacy mechanism to inform users about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smart home environments, let alone control over smart home data. Accordingly, users took extreme measures such as physically blocking devices or discontinued their use of smart homes. As a result, users showed resignation towards smart home privacy.
The study proposed to utilize users’ smart home mental models as a design element to increase users’ understanding of the smart home structure and present information norms of smart home device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of Contextual Integrity. Based on these suggestions, the ‘Privacy Book’ application was created to improve users’ understanding of privacy in smart homes and control their data. A smart home mental model was visualized on the front page with information norms. Smart home data was presented on the data page for monitoring and control. After the initial prototype, user testing was conducted to modify the design of the appli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academically by adding empirical research on user’s perception of smart home privacy.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by providing a privacy mechanism that complements the existing legal and technical approaches to smart home privacy.

비고 : MCD-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