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OTT 서비스의 차별화된 콘텐츠 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연구 ? 넷플릭스의 포스터 아트워크 개선 제안 ?
  • 저자명|신승훈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OTT 서비스, 경험 디자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정보 전달 인터페이스, 디지털 포스터 아트워크, 인터페이스 디자인

국문초록

OTT 서비스의 시청자 개념은 뉴미디어 이전 시대의 수동적인 시청자와 다른 의미가 되었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청할 콘텐츠를 직접 선택하는 행태로 변화하면서 미디어와 상호작용하는 능동적인 관계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OTT 서비스에서 기존의 미디어에 없었던 사용자 경험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하지만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사용자는 처리해야 할 정보도 많아져서 오히려 콘텐츠를 선택하기 어려운 행태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사용자가 직접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선별하면서 콘텐츠의 정보 학습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이 지점에서 시작한다.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요소는 무엇인지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OTT 서비스에서 사용자 경험을 단계별로 나누어 행동의 특성을 분석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별하고 판단하는 과정을 도출했다. OTT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정보처리 과정은 매우 빠르고 단순했는데, 특히 인지적 편안함이 작용하는 이미지를 쉽게 선택하는 특성을 발견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현재 국내 서비스하고 있는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OTT 서비스의 정보 전달 인터페이스를 분석했다. 그 결과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탐색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으나, 수동적으로 콘텐츠를 탐색하는 사용자에게는 정보 전달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자는 디지털 포스터 아트워크의 새로운 형태를 제안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그뿐만 아니라 ‘오늘의 추천’ 기능을 통해 콘텐츠 카드로 쉽고 빠르게 선별할 수 있는 기능으로 사용자의 취향을 빠르게 수집하고 정교한 추천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안했다.
OTT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콘텐츠가 많아지면서 사용자는 콘텐츠의 정보를 서비스 외부에서 수집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불편한 사항을 개선하여 서비스 내에서 콘텐츠를 선별할 수 있는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로 더 다양한 잠재적 사용자가 이용하고 서비스 내에서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초록

The viewers of OTT service has become different from the past viewer of the traditional media generation. It has changed to an active relationship that interacts with the media. Users directly choose contents to watch what they want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is change has become a significant part of the user experience in over-the-top services. Therefore, meaning of viewer has been changed to users.
In this study begins at this point. The more contents, the more complicate what the users select it. The viewer experience of OTT service increase more information to deal with and there are more behavi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select contents. In particular, getting information of contents has become important as users actively select contents themselves. The goal is to find out how can effectively communicate information from contents to users.
To do this, we started with analyzing the users experience in each stages step by step. It was found that how users can process the contents information. In the OTT service, the users process of processing information was very fast and simple, especially finding it easy to select the images in which cognitive comfort work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analyzed the information delivery throughout interface of OTT services based on Netflix, which is currently servicing in South Korea. As a result, although it consists of an interface suitable for users who actively explore contents, it is found that information delivery is insufficient for users who are passive in exploring contents.
In response, the researchers proposed a new form of digital poster artwork and guidelines. In addition, through the "Today's Recommendation" function, the company quickly collected users preferences and proposed an interface that enables recommendations by providing easy and quick selection with contents cards.
As the OTT services increases provided contents, users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outside of the services. This study improves these inconveniences and expects to be used by more diverse potential users as an interface that delivers more information that can select contents within the service.

비고 : MCD-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