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스마트카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사운드 디스플레이 연구: 전기자동차(EV) 사운드와 시각화 디자인 :주행음, 경고음, 알림음을 중심으로 "
  • 저자명|윤철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Sound UX, 스마트 사운드 디자인, 자동차 사용자 경험 디자인 , 사운드 시각화, 전기자동차

국문초록

최근 스마트(전기) 자동차가 상용화 및 보편화 되면서 내연기관 자동차 시대의 이슈였던 차량 내 소음을 줄이는 기술에서 이제는 오히려 소리를 제작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소위 스마트 차량은 엔진이 없는 관계로 태생적으로 무소음에 가까울 만큼 정숙성이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지루해지거나 불의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갖게 되었다.
현재 이러한 사용자들의 페인 포인트를 바탕으로 차량 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주행음(가상 엔진 사운드) 디자인 연구, 전기 차량 내 음질 개선 방법, 보행자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으나 감성을 기반으로 한 사운드 디자인 관련 이론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며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분야에서 통용되는 이론을 적용하여 Sound UX를 분석한 연구 또한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동차 사운드 관련 이론 및 사례를 분석한 뒤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감성적 사운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헌 조사 및 사례 연구를 실시한 뒤 HCI 및 UX 분야에서 통용되는 이론을 사운드 디자인 영역에 적용하였다. 이후 스마트 차량 내에서 구현될 9가지 사운드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다. 연구범위 내 9가지 사운드로는 3가지 컨셉의 미래 지향적 주행음, 참여 유도형 경고음(후진, 보행자, 안전벨트 미착용), 상황변화 알림음(시동 on/off, 기어 변속, ISG )이 해당된다. 사운드 프로토타입 관련 사용성 평가의 경우, 전문가 집단 심층 인터뷰(FGI)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정성적 연구(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사용성, 유용성, 감성 부문을 측정하였다. 다시 말해, 일관성, 유희성, 특화성, 상황 인지성이라는 경험 요인을 고려한 사운드에 대해 실험 참가자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차량에 특화된 사운드를 통해 차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여 주행 환경에서의 안정감과 만족감을 높여주는 것이다. 나아가 사용자에게 기능적이고 유희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운드 디자인 영역 또한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사용자 경험 기반의 사운드 디자인 작업을 위해 관련 개념 정의 및 이론 확립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 나아가 실무자에게는 UX를 고려한 사운드 연구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워주었다는 점이다. 또한, 스마트 차량에 특화된 9가지 스마트 사운드를 통하여 사용자와 보행자의 경험의 질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높이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With the recent commercialization and universalization of smart (electric) cars, the technology to produce sound is now developing from the technology to reduce noise in vehicles. Smart vehicl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quiet enough to be noise-free since they don’t have internal engines. On the other hand, users can feel insecure that they may become bored or cause an accident.
Currently, research on emotional driving sound (virtual engine sound) design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in a vehicle based on these users' Pain Points, a method of improving sound quality in an electric vehicle, and research to enhance the safety of pedestrians are being conduct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ound design-related theory based on emotion, and studies on sound UX analysis by applying the theory commonly used in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field are also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an emotional sound based on user experience after analyzing the theories and cases related to the existing car sound.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eories commonly used in HCI and UX were applied to the sound design area. After that, we designed nine sound prototypes to be implemented in a smart vehicle. The nine sounds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 three concepts of future-oriented driving sound, participation-inducing warning sound (reverse, pedestrian, seat belt warn), and situation change notification sound (engine start, gear shift, ISG). In the case of usability evaluation related to sound prototypes, an expert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a qualitative study (in-depth interview) of users were conducted, and usability, usefulness, and emotion were measured. In other words, we investigated how users react to the sound considering the experiential factors such as consistency, playfulness, specialization, and context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in-vehicle user experience through sound specialized for smart vehicles, thereby enhancing stability and satisfaction in the driving environment. Furthermore, it emphasizes the fact that in order to provide a functional and entertaining experience to the user, work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must also be performed in the sound design area.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enhance safety by improving the quality of user and pedestrian experience through nine kinds of smart sounds specialized in smart vehicles.

비고 : MCD-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