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운전 맥락 정보에 기반한 AR-HUD 인터페이스 디자인
  • 저자명|장지한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AR-HUD, 운전 상황, 맥락적 연구, 상황별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디자인

국문초록

스마트카 시장이 점차 커지면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한 발전해 가고 있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중 하나인 HUD는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해주고 있다. 하지만 HUD는 디스플레이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제공되는 정보가 제한적이고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HUD에서 더욱더 발전된 형태인 AR-HUD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AR-HUD는 아직 상용화 되지 않는 기술이며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디자인이 가이드라인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R-HUD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제안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진행된다.

본 연구는 AR-HUD 시스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고 맥락에 따른 3가지 운전상황을 정의하여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설계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선행 연구에 의하면 운전 상황은 ‘주행’, ‘정차’, ‘방향 전환’ 3가지의 방식으로 구분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운전 행동에 기반한 분류이기 때문에 새로운 AR-HUD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연구자는 맥락적 연구를 통해서 운전자가 운전 중에 어떻게 정보를 습득하고 어떻게 정보를 의사결정에 사용되는지 알아 보았다. 맥락적 연구의 방법인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서 운전자의 운전 상황을 고속주행, 일반주행, 골목주행으로 새롭게 정의하였다.

정의된 3가지 운전 상황을 통해서 각각의 운전 상황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콘텐츠와 상황에 따라 새롭게 선호하는 콘텐츠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운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 콘텐츠 7가지를 통해 새로운 AR-HUD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안 할 수 있었다. 아울러 작품 연구를 통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AR-HUD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제안점들을 검증하고 최종 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AR-HUD’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실무적 관점에서 향후 미래 스마트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설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고 맥락을 사용한 연구를 통해 차량과 인간과의 인터랙션 설계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영문초록

As the smart car market grows, the infotainment system is also developing. One of the displays in the infotainment system, the HUD provides both driver safety and convenience. However, Due to the small display size of the HUD,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river is limited and the driver is not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needed for actual driving. To address this problem, research on AR-HUD, a more advanced form of conventional HUD, is also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AR-HUD is a technology that is not yet commercialized and lacks guidelines for design based on user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paper, a study focusing on the interface design proposal of AR-HUD is conducted.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sign of infotainment systems by presenting guidelines for AR-HUD systems and defining three contextual driving situation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driving conditions are divided into three ways: driving, stopping, and turning. However, this classification is not suitable for the interface design of new AR-HUDs because it is a classification based on driving behavior. Therefore, the researcher examined through contextual inquiry how drivers acquire information while driving and how information is used in decision-making.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s, which are methods of contextual Inquiry, we newly define the driver's driving situation as 'high-speed driving’, ‘general driving’, and ‘alley driving’.

Through the three defined driving situations, we were able to find content that is commonly considered important in each driving situation and newly preferred cont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s a result, we were able to propose a new AR-HUD interface design through seven information contents that drivers consider important. In addition, the company produced prototypes and evaluated usability through work research to verify suggestions for AR-HUD interface design and design the final wor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posing the interface design of 'AR-HUD', a new infotain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Furthermore,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we were able to present guidelines for future smart car infotainment system design and present key factors for all interaction designs with vehicles and humans through research using context.

비고 : MCD-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