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음소문자 한글의 시각화를 위한 한글 밈 제너레이티브 아트 연구 -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기반으로 -
  • 저자명|정유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2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한글, 제자원리, 생성 시스템, 밈, 한글 밈, 제너레이티브 아트, 생성 예술, NFT

국문초록

웹 3.0 시대의 도래로 인해 메타버스, NFT, P2E, 디파이 등의 개념이 사회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블록체인 암호화 기술을 바탕으로 한다는 것이다. 인터넷 인프라의 변화로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와 서비스 역시 이에 따른 탈바꿈이 진행 중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게 변화된 곳 중 하나는 미술시장이다. 그중에서도 디지털 아트 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 Fungible Token)’이라는 뜻을 가진 NFT의 등장이 이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NFT로 발행된 디지털 아트 중에서, 작품 전체가 비슷해 보이지만 조금씩 다르게 생성된 작품들이 유독 시장의 수요가 높은 현상을 보인다. 이런 장르의 미술은 ‘제너레이티브 아트’라 일컬어지며, 초기 형태의 일부 혹은 부가적 요소를 발생시켜 만들어진 형태가 더해지거나 겹쳐지며 변화를 줄 수 있게 디자인하여 표현하는 미술이다.
제너레이티브 아트와 더불어 대중의 주목을 받는 또 하나의 콘텐츠가 바로 ‘밈(Meme)’이다. 밈은 모방이라는 과정을 따라 변이를 일으키며 대중 속으로 퍼져가는 특성이 있다. 이미지와 영상 콘텐츠가 주로 소비되며 SNS라는 플랫폼상에서 쉽게 공유, 전파되는 시대적 배경 속에 발생한 밈은 새롭게 등장한 의사소통 매체이자 시각 언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너레이티브 아트’와 ‘밈’을 하나의 유행 현상으로 보는 것을 넘어, 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적 정의, 현상적 분석, 시대적 기능 등의 연구를 진행한다. 이론적 배경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글’을 밈으로 표현하여 <한글 밈>으로서 제너레이티브 아트를 제작하여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다.
한글은 천지자연의 소리를 ‘문자’로 '발생'시키는 세계 유일한 시스템 문자이다. 한글이 만들어진 원리를 설명하는 훈민정음 재자해를 바탕으로, 한글의 발생 시스템과 제너레이티브 아트의 핵심 속성인 생성 시스템을 연결하여 제너레이티브 아트라는 예술의 형태로 도출한다. 단 여기서는 문자 한글이 아닌 한글 밈으로서 이를 표현한다. 한글 밈이란 한글이 만들어진 원리 즉, 한글의 알고리즘을 시각화하여 ‘문자 기호’가 아닌 ‘이미지 패턴’으로 표현하는 새로운 표현 방식의 한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력된 텍스트에 따라 혹은 표현 주체에 따라 각기 다른 이미지가 생성되는 가변성을 가진 한글 밈을 ‘텍스트를 내포한 그림’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시각 언어로 제시하는 것이다. 더불어 각 글자 하나하나가 밈의 알고리즘과 제너레이티브 아트의 원리를 따라 발생하므로, 각각의 글자가 수집 가능한 개체(collectibles)이자 의미 있는 텍스트의 조합으로 제품의 특성을 드러내는 패턴으로서의 상표적 기능이나 PFP(Profile Picture)와 같이 자기표현이 가능한 이미지로서 기능할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너레이티브 아트와 밈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각각의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각 개념을 한글 알고리즘에 접목하여 한글을 한글 밈으로, 한글 밈을 제너레이티브 아트로 제작할 방향을 제시한다. 한글 밈 제너레이티브 아트의 작품 제작을 위해 제작 프로세스를 정의하여 작품을 제작하며, 작품이 밈으로서 어떻게 전달의 과정을 거쳐 전파될 것인지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끝으로 향후 더 연구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언급하며 연구를 마무리한다. 본 연구는 한글을 밈의 개념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시각언어로서 제시함과 동시에 웹의 발전에 따른 미디어의 진화를 한글에 적용하여 시대적 변화에 맞는 형태로 변형(transform)함으로써 문화예술 콘텐츠로서의 한글을 제안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With the advent of the Web 3.0 era, concepts such as Metaverse, NFT, P2E, and DeFi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from society.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based on blockchain encryption technology. Due to changes in Internet infrastructure, contents and services in various fields are also undergoing transformation. One of the places that has changed the most is the art market. Among them, the demand and supply for digital art contents is increasing remarkably. The advent of NFT, which stands for ‘Non Fungible Token’ made this possible.
Among digital art published by NFT, works that look similar but are created slightly differently show a high demand in the market. This type of art is called ‘generative art’. It is an art that is designed and expressed so that the forms created by generating some or additional elements of the initial form can be added or overlapped to give changes.
Along with generative art, another content that is receiving public attention is ‘meme’. Memes follow the process of imitation, causing mutations and spreading among the masses. Memes generated in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images and video contents are shared and spread on a platform called SNS can be seen as a newly emerged communication medium and visual language.
In this background, we go beyond looking at 'generative art' and 'meme' as a single trending phenomenon, and conduct research on conceptual definitions, phenomenal analysis, and temporal function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Based on the stud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 want to express ‘Hangul’ as a meme, and I present based on the system and process of generative ar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Hangul is the only system character in the world that 'generates' the sounds of nature as 'character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book Hunminjeongeum, which explains the principle of how Hangul was created, I try to draw Hangul as an art form called generative art by connecting the system of Hangul with the generative system, which is a key attribute of generative art. However, the Hangul used here is a Hangul meme, not a literal Hangul. Hangul meme is a new expression method of Hangul that visualizes the principle of Hangul, that is, the algorithm of Hangul, and expresses it as an ‘image pattern’ rather than a ‘character symb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Hangul meme with variability in which different images are generated depending on the input text or the subject of expression as a new type of visual language called 'picture containing text'. In addition, since each letter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lgorithm of meme and the principle of generative art, so they can be a collectible items or a combination of meaningful texts. Therefore, on this study, threre're some examples of Hangul meme generative art can be used as a trademark or PI (Product Identity) as a pattern tha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or also can be used as an image capable of self-expression such as PFP (Profile Picture).
In this paper, the concepts of generative art and memes are understoo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 identified through case analysis. In addition, by grafting each concept into the Hangul algorithm, I would like to present a direction to produce Hangul as Hangul memes and Hangul memes as generative art.
For the creation of works of Hangul meme generative art, the production process is defined and the work is produced, and a scenario is presented for how the work will be propagated through the process of delivery as a meme. Finally, the research concludes by mentioning matters that require further research in the fu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interpreted Hangul as a concept of meme and presented it as a new visual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it proposed Hangul as a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by applying the evolution of media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web to Hangul and transforming it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changes of the times.

비고 : MCD-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