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프라이버시 데이터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감정적 비교- UX 디자인 관점의 사용자 분석
  • 저자명|정글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프라이버시 데이터, 프라이버시 인터페이스,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프라이버시 디자인, 프라이버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윤리

국문초록

디지털 서비스의 발전이 멀티 페르소나를 지원하는 초개인화 시대로 도약함에 따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의 개인 데이터 수집 활동이 전투적으로 진행되며 이를 토대로 고객의 잠재적 니즈까지 계산된 신규 서비스가 산업의 중심이 되고 있다. 기업은 서비스의 질을 높인다는 명목 하에 사용자에게 프라이버시와 밀접하게 연관된 데이터에 대한 수집 동의를 요구하며, 사용자는 서비스를 온전히 사용하기 위해 각종 데이터 수집에 동의하며 프라이버시를 포기하기도 한다. 기업은 수집된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자신들의 알고리즘 기반으로 재가공하고 개인의 선호도를 세부적으로 분석하며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추천 콘텐츠, 분석 자료, 데이터 시각화 제공 등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혜택을 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는 대부분 기업의 일방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한 결과를 통보 받는 것으로 기업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특정 데이터만을 안전하게 수집한다는 명확한 근거를 알 수 없다. 또한 사용자는 수집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며 특정 데이터의 분석 과정과 결과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판단할 수 없다. 이는 정보의 비대칭을 발생시키며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인터페이스가 충분히 공정한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결국 사용자가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본인의 데이터에 대한 결정권과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입장과 관점에 맞춘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수집된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직관적인 프라이버시 인터페이스 사례를 선정하고 사용자 연구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정보 프라이버시 경험을 검토하고 정의하는 것이다.
사용자 조사는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선정된 프라이버시 데이터 활용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감정과 태도 그리고 행동 요인을 파악하였다.조사 결과 침해되는 프라이버시에 대하여 경계심을 가지면서도 막상 본인의 데이터 관리에 소홀한 역설적인 사용자 경향을 뜻하는‘프라이버시 패러독스’현상을 넘어, 프라이버시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감정과 인식의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프라이버시 데이터의 수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경향을 4가지 기준을 통해 경향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를 통해 프라이버시 경향 모델로 제안하였다. 이후 프라이버시 사용자 경향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실무 디자이너의 검토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결정권을 향상하고 프라이버시 데이터를 공정하게 수집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디자인 체크 리스트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 수용 모델 요인을 참고하여 신기술에 대한 수용도와 사용자 경험 측면을 결합시켜 새로운 관점으로 프라이버시 데이터 수집을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인터페이스 시각화 관점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혁신적 신기술이라 볼 수 있는 데이터 기반 산업과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윤리적 측면을 함께 언급했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한 연구이다. 또한, 디자인 체크리스트를 통해 프라이버시 데이터 활용 서비스의 신뢰도와 사용자 수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영문초록

As digital services advance into an era of hyper-personalization supporting multiple personas, mobile-based enterprises engage in aggressive data collection activities to develop calculated new services catering to customers' latent needs. Under the pretext of enhancing service quality, companies request user consent for privacy-associated data collection, leading users to often compromise their privacy to fully utilize services. Companies argue that they utilize collected privacy data to refine their algorithms, analyze individual preferences in detail, and provide users with personalized content recommendations, analytical insights, and data visualizations, thus enhancing service quality and delivering optimized benefits to users.

However, from the user's standpoint, data-driven services mostly involve one-sided data collection by companies, and there is a lack of clear evidence that specific data is safely collected for the sole purpose of providing services. Users find it challenging to precisely understand the types of data being collected, as well as to judge the valid reasons behind the analysis process and results of specific data. This information asymmetry raises discussions on the fairness of service interfaces utilizing privacy data. Ultimately, to comprehend the process of users providing privacy data, understanding the user's perspective and conducting research tailored to their viewpoint is crucia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lect intuitive privacy interfaces that allow users to visually inspect collected privacy data and conduct user research to review and define users' information privacy experiences.

The user survey employ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focusing on selected privacy data utilization interfaces. Emotional attitudes, behaviors, and factors influencing privacy in terms of the chosen privacy data utilization interface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revealed a paradoxical user tendency?expressing a sense of privacy invasion yet being careless in managing their own data. Beyond the "privacy paradox," the study discovered users' multifaceted and complex emotions and perceptions regarding privacy data.

To enhance users' privacy decision-making and propose fair privacy data collection, the study categorized user tendencies into four types based on four criteria. Subsequently, a conceptual definition of privacy user tendencies and a privacy design checklist were developed through a review process by practical designers.

This research aimed to interpret privacy data collection from a new perspective by combining factors from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with acceptance and user experience aspects concerning innovative technologies. The study is timely, considering the ongoing discussions about the ethical aspects of data-driven industries. Additionally, by introducing a design checklist, the study aims to increase trust and user acceptance of privacy data utilization services.

비고 : MCD-24.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