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이커머스 구매 자동화 서비스 연구 - 실 재고량 기반 구매 자동화 서비스 구현 및 경험 관찰을 중심으로 -
  • 저자명|서장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김동환

주제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관여도(Involvement), 이커머스(E-Commerce)

국문초록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자들이 사용자들의 구매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방식 중 하나로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이 있다. 구매 효율성을 향상 시키는 서비스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 간격으로 동일한 상품을 자동으로 반복 주문하는 정기배송 방식과, 스마트 스피커 등을 사용해 구매 과정의 일부 단계를 생략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두 방식은 구매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 주지만, 각각 실재 재고량에 기반 하지 않는 다는 점, 사용자가 재고량을 인지하고 구매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발전에 힘입어,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재고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기계가 직접 구매 시기를 결정하고 구매를 수행하는 서비스들이 제안되고 있다. 아마존(Amazon)은 저울 위 상품의 무게를 측정하여서 무게 감소 시 자동으로 주문하는 대시 스마트 쉘프(Dash Smart Shelf)를 출시하였고, 삼성과 LG는 이미지 센싱으로 냉장고 내 식자재 재고량을 측정하여 필요한 식자재를 자동으로 구매하는 스마트 냉장고를 소개하였다.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구매 자동화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구매 경험을 제공 해 줄 수 있는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아마존 고(Amazon Go)와 같이 스마트 물류(Smart Retail)와 같은 기업 간 거래(Business to Business, B2B)에서만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 있으며, 기업-소비자간 거래(Business to Customer, B2C)측면에서 일반 사용자의 가정에서의 해당 서비스의 사용 경험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구매 자동화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실험물을 통해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을 구현하였으며, 실험물로 구현된 구매 자동화 서비스에 대한 1개월 여간의 연구 참여자들의 체험 경험을 수집하고 분석 하였다.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이커머스 구매 경험, 정기 배송 경험의 미충족 욕구를 발견하고, 발견한 미충족 욕구의 일부를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구매 자동화 서비스로 충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참여자의 서비스 체험을 바탕으로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구매 자동화 서비스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분석하여, 긍정적 측면을 기반으로 기계에 의한 구매 자동화 서비스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부정적 측면을 기반으로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작 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 많이 연구 되지 않은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구매 자동화 서비스에 대해 선제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완전 자동화된 구매 경험’을 발전시기 위해 본 연구의 기존 서비스의 미충족 욕구 분석, 대상 상품 정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IoT 디바이스를 넘어 기계에 의한 구매 자동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영문초록

Among the methods utilized by e-commerce service providers to enhance users' purchasing experiences, one way is to improve efficiency. Widespread services that improve purchase efficiency include subscription-based delivery, where the identical product is automatically ordered at user-defined intervals, and methods that omit certain steps in the purchasing process using devices such as smart speakers. While both approaches enable efficient purchasing, they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do not rely on actual inventory levels, and users need to make purchase decisions while being aware of inventory levels by themselves.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unlike the existing methods, services are being proposed that automatically measure inventory levels, allowing machines to determine the timing of purchases and implement them. Amazon, for instance, has released the Dash Smart Shelf, which automatically places orders when it detects a decrease in weight on the scale, and Samsung and LG have introduced smart refrigerators that use image sensing to automatically purchase necessary groceries by measuring the inventory levels inside the fridge.
Despite the potential for purchase automation services utilizing IoT devices to offer users new purchasing experiences, research in this area has primarily been conducted in only business-to-business(B2B) settings such as Amazon Go and Smart Retail, and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on the user experience of such services in business-to-customer(B2C) transactions within regular households.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user experience of purchase automation services utilizing IoT devices, a Minimum Viable Product(MVP) was created through hardware and software experiment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experiential data of participants who interacted with the experimentally implemented purchase automation service for a period of one month.
Through the research, needs that were unmet in the existing e-commerce purchase experience and subscription delivery experience were ident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se needs can be fulfilled through purchase automation services utilizing IoT devices. Based on the participants' service experiences,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purchase automation services utilizing IoT devices were analyzed. The potential of machine-driven purchase automation servic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positive aspects, and guidelines for future improvement were created based on the negative aspect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into purchase automation services utilizing IoT devices, which have not yet been extensively studied. In order to further develop a 'completely automated purchasing experience', the analysis of unmet needs in the existing service, definition of target products, and design guidelines demonstra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not only for IoT devices but also for machine-driven purchase automation services.

비고 : DIT-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