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인류세와 무빙이미지 예술의 분해자(decomposer)로서 가능성
  • 저자명|박한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인류세, 분해자, 무빙이미지, 사유-이미지, 비인간, 물질, 예술적 실천, 앙리 베르그송, 질 들뢰즈, 제인 베넷

국문초록

본 연구는 기후위기의 시대, 인류세(Anthropocene)의 기반이 되는 인간중심적 사고방식을 해체/분해하고, 인간-비인간의 수평적 사유를 재고찰하는 동시대 무빙이미지 예술의 분해자(decomposer)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동시대 인간의 지구에 대한 영향력이 지질층과 기후를 변경시키고 있다. 2000년 파울 크뤼천(Paul Crutzen)은 현 시대를 인간의 영향력에 의해 형성된 지질시대로 인류세라는 새로운 용어를 제안한다. 인류세는 끊임없이 누적되고 순환되지 않는 인간의 막대한 흔적으로 인한 오염을 돌아보게 하고, 그러므로 생태계 지속가능성을 다시 질문하게 한다. 홀로세(Holocene)의 지속가능함은 생태계의 순환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연구자는 생산자(식물군), 소비자(동물군), 분해자(버섯, 균류)와 같은 생태계 순환 구조를 경제의 순환 구조와 연결짓는다. 인간은 경제적 생산과 소비를 끊임없이 촉진해왔지만, 인공물(상품)이 파생하는 것의 사용 이후나 분해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이러한 논의에서 더 나아가 연구자는 인공물·물질의 순환구조를 이미지와 연결하기를 제안한다. 비인간에 대한 인간의 사유화와 상품화로 생산·소비된 물질들은 경제적 순환 고리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품 욕구를 촉진하는 스펙타클 이미지로 인해 그 순환은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방식과 자본주의 아래 저항하는 무엇, 아직 남아 있는 그 무엇이 이미지의 예술, 무빙이미지 예술에 있다면 그것은 기존의 사고방식을 해체/분해할 (물질의 분해자를 은유하는) ‘분해자’로서의 가능성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분해자는 인간-비인간을 수평적으로 사유하기를 시도하는 이미지이다. 예술이 기존 이분법과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방식의 저항으로서 사유를 촉발하고, 인간-비인간을 수평적으로 다시 사고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제인 베넷(Jane Bennett)의 생기적 유물론과 앙리 베르그송(Henri-Louis Bergson)의 ‘물질=이미지' 도식, 그리고 베르그송과 공명하며 확장하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운동-이미지와 사유-이미지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베넷은 비인간 물질에 내재한 생기를 포착하며 그 비인격적 정동에 대한 상상과 시도를 긍정하며, 대상에 대한 동일성의 논리를 비판한다. 베르그송은 정신과 물질이라는 오래된 서구철학의 이분법을 ‘물질=이미지’라는 자신만의 이미지론을 통해 횡단한다. 들뢰즈는 베르그송의 논의를 확장하며, 운동이 내재한 물질·이미지를 바라보고 영화·무빙이미지로서 사유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베넷과 베르그송, 들뢰즈의 논의는 주체와 대상, 인간과 비인간이라는 이분법적 판단들에 틈을 벌릴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탈인간적인 이미지를 탐색하기 위해 세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비인간 물질에 관한 실증적 연구인 비인간에 대한 과학의 탐구를 경유하는 예술적 방법이다. 둘째, 비인간 물질의 비인격적 정동을 허구적으로 모색해보며 직관과 공감을 향한 상상적이고 예술적 실험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방법들은 무빙이미지라는 매체로 들뢰즈의 사유-이미지를 촉발해야 한다. 즉, 기존 관습으로부터 이질적 간극을 드러내며 인간중심주의에 질문을 던져야 하는 것이다. 총체화되지 않은 평평한 관계망에서 드러나는 물질과 이미지의 다시 보기와 사유-이미지로서의 무빙이미지 예술의 가능성에서 인류세 시대의 분해자로서의 일말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하기 위해 인류세 주제를 다학제적으로 다루는 《크리티컬 존(Critical Zones)》(2021-2022) 전시 속 세 편의 무빙이미지 작품?소냐 레비의 (2018~), 지오시네마의 (2021), 폴린 줄리어의 (2017)?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무빙이미지 예술의 인간중심적 사고방식의 분해자로서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해보는 기회를 마련한다.

영문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potential as a decomposer of contemporary moving image art that decomposes/disassembles the anthropocentric way of thinking that is the basis of the Anthropocene in an era of climate crisis, and reconsiders the horizontal thinking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Contemporaneous human influence on the Earth is altering the geological layers and climate. In 2000, Paul Crutzen proposed a new term, the Anthropocene, as a geological epoch formed by human influence. The Anthropocene makes us look back at the pollution caused by the enormous traces of humans that are constantly accumulated and not circulated, and therefore question the sustainability of ecosystems again. The sustainability of the Holocene originated from the circulation of ecosystems. The researcher connects the cycle structure of the economy, such as producers(plants), consumers(fauna), and decomposers(mushrooms, fungi). Humans have constantly promoted economic production and consumption, but relatively little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post-use or decomposers of what artifacts (commodities) derive from.
Going further in this discussion, the researcher connects the circular structure of artifacts/matter with images. The result of the anthropocentric privatization and commodification of non-humans is the Anthropocene, which has been strengthened by contact with images. These images appeared as spectacle images and constantly promot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Under such anthropocentrism and capitalism, the researcher argues that if there is anything that resists or remains, the image arts and moving image art lie in the possibility of decomposing as a ‘decomposer’ (metaphorizing the decomposer of matter) in anthropocentric ways of thinking.
This decomposer is an image that attempts to think non-humans and humans horizontally. Jane Bennett's vital materialism and Henri-Louis Bergson as a methodology for art to trigger thinking as a resistance to the existing dichotomy and anthropocentric thinking and to rethink human and non-humans horizontally. The clue can be found in the schematic of 'matter = image' of, and in Gilles Deleuze's Movement-Image and Thought-Image, which resonates with Bergson and expands. Bennett captures the vitality inherent in non-human matter, affirms the imagination and attempts at impersonal affect, and criticizes the logic of identity for objects. Bergson attempts to cross the dichotomy of the old Western philosophy of mind and matter through his own image theory of ‘matter = image’. Deleuze expands on Bergson's argument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looking at the matter/image inherent in movement and thinking about the moving image. The discussion of Bennett, Bergson, and Deleuze provides a possibility to open a gap in the dichotomous judgments of subject and object, human and non-human.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researcher proposes three methods to explore post-human images. First, as an empirical study of non-human matter, it is an artistic method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to non-humans. Secondly, it is an imaginative and artistic experiment toward intuition and empathy by fictionally seeking the impersonal affect of non-human matter. And finally, these methods should trigger Deleuze's thought-image as a medium of moving imag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question anthropocentrism by revealing a heterogeneous gap from existing customs. A glimpse of possibility as a decomposer in the Anthropocene era can be found in the revisiting of matter and images revealed in a flat, unintegrated network of relationships and in the possibility of moving image art as a thought-image.
In order to grasp thes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ree moving image works in the exhibition Critical Zones (2021-2022), which deal with Anthropocene themes in a multidisciplinary way?Sonia Levy's (2018) ~), Geocinema's (2021), and Pauline Julier's (2017)?are analyzed. Through thi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uss in detail the possibility of moving image art as a decomposer of the anthropocentric way of thinking.

비고 : MMA-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