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사용자의 몰입적 경험을 위한 가상현실 뮤직비디오 - 볼류메트릭 캡처 기술을 사용하여 -
  • 저자명|김도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3
  • 담당교수|Holoubek, Todd

주제어

가상현실, 뮤직비디오, 볼류메트릭캡처

국문초록

본 연구자는 가상현실(VR) 음악 콘텐츠인 VR 뮤직비디오의 연출 방법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일반적인 뮤직비디오의 시청자는 영상의 프레임 안에서 연출자가 의도한 장면만을 볼 수 있었고, 또한 뮤직비디오 연출자는 뮤직비디오 제작 시 프레임 영역 안에서만 연출이 허용되었다. 한편, 여러 미디어에서 VR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면서 프레임의 제한이 사라진 VR 기술들을 접목한 여러 연출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영상 매체를 활용한 뮤직비디오 및 VR 콘텐츠 사례들을 통해 VR 뮤직비디오 연출을 위한 ‘공간적 특징을 활용한 퍼포먼스’, ‘지표 역할을 하는 빛의 활용’, ‘환상적 공간의 재현’, 그리고 ‘3D 그래픽 볼류메트릭 캡처’라는 네 가지 표현기법들을 도출하였으며, 논의에 더 나아가 이 표현 기법들을 적용한 VR 뮤직비디오 ‘Memoryscape’를 제작하였다.

VR 뮤직비디오 ‘Memoryscape’에서는 위에서 발견한 네 가지 연출 방법들을 통해 VR 뮤직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첫째로, VR 뮤직비디오 내에 전 방향에 인물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바라보는 감상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소리를 활용하여 공간감과 방향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을 보였다. 둘째로, 주요 사건이 일어나는 지점에 사용자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도록 빛을 활용한 지표를 적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셋째로, 전 방향을 활용한 구 형태의 공간을 통해 표현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으며,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볼류메트릭 캡처 기술을 활용하여 인물에 대한 입체적이고 세밀한 묘사가 가능함을 보였으며, 또한 VR 제작 과정에서 유용한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VR과 뮤직비디오에서 나타나는 표현양식을 도출하였으며, 새로운 VR 음악 콘텐츠인 VR 뮤직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등장하게 될 다양한 VR 음악 콘텐츠의 전망을 기대하며, 이 연구가 VR 콘텐츠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초록

In this paper, the directing methods for creating virtual reality(VR) music videos as VR music content have been explored. Until now, a typical music video mainly shows within a video frame, so the viewer can only see scenes intended by the director. In addition, the music video director is only allowed to direct within the area limited by the video frame when making a music video. Meanwhile, various production methods have been attempted to incorporate VR technologies that eliminate video frame limitations. By reviewing existing music videos and VR works, four expression techniques for directing VR music videos were discovered and they are ‘performance using spatial features’, ‘using light as an indicator’, ‘creation of fantastic spaces’, and ‘3D graphic volumetric capture’. Besides, a VR music video ‘Memoryscape’ was created using these expression techniques further to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e VR music video ‘Memoryscape’ showed that VR music videos can be produced through the four directing methods found above. First, users are given a free viewpoint by placing characters in all directions within the VR music video so that the user can see characters in all directions. It was also shown that the sound in VR can be used to provide a sense of space and direction to the user. Second, light indicators were applied to show the potential method to induce the user’s orientation where the events occur. Third, this study showed the area of expression can be expanded through a spherical space without video frames.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users to experience a new space.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detailed expressions of characters can be possible using volumetric capture techniques. This technique could also be used as a useful technology in the VR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is study, expression styles that appear in VR and music videos were derived, and a methodology for producing VR music videos, a new VR music content, was presented. We look forward to the prospects of various VR music contents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and hope that this study can help VR contents develop.

비고 : MMA-2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