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테마파크의 체험형 Pre-show 디자인 연구 : <젤다의 전설> 세계관을 중심으로
  • 저자명|윤정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4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테마파크,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프리 쇼, 체험, 몰입

국문초록

본 논문은 테마파크에서 어트랙션 탑승 전 대기 단계인 프리 쇼(Pre-show)가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통해 어트랙션의 메인 쇼(Main-show)와 방문객에게 어떻게 새롭게 접근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테마파크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각광 받으면서 매년 그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다이나믹한 움직임의 현실 어트랙션과 무궁무진한 상상력으로 제한이 없는 가상 어트랙션을 통해 관람객들이 더욱 몰입감 있는 비일상적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방문객들이 테마에 기반한 특정 주제 속에서 비일상적인 경험을 하기 위해서는 테마파크의 스토리텔링 기본 서사 구조인 프리 쇼(pre-show), 메인 쇼(main-show), 포스트 쇼(post-show)의 과정이 중요하다. 이 3막 구조는 방문객들이 테마파크에 입장하여 어트랙션을 체험하고, 즐기는 동안 하나의 이야기처럼 조직화 되어 일련의 활동같이 적용된다. 방문객들이 테마파크에서 완벽한 유토피아적 경험을 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테마파크의 기본 3막 구조가 균형 있게 기획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3막 구조 중 방문객들이 가장 긴 시간을 할애하는 부분이기도 하며, 메인 쇼의 몰입을 도와 전달하고자 하는 스토리텔링에 대한 서론을 체험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인 프리 쇼 단계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또한 헨리 젠킨스(Henry Jenkins)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 이론을 참고해 스토리텔링의 참여적 유형과 테마파크로까지 확장된 사례들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문에서는 방문객들에게 처음부터 끝까지 서사성을 주고받으며 프리 쇼와 메인 쇼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접목시키고자 한다. 또한 선정한 사례들을 세 가지 분석기준에 따라 방문객들에게 창조적 유희 공간으로서 테마파크가 방문객들에게 몰입의 기능을 얼마나 제공하는지 확인하고자 하며, 완성도 있는 서사구조가 어떻게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높은 만족도로 인한 재방문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이는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하는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방문객들이 새로운 몰입적 체험을 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더불어 기존 상호작용 구조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콘텐츠들의 사례분석을 병행하며 다양한 작품들의 현시점을 파악하고,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체험형 프리 쇼 제안의 지향 방향을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기획하고자 하는 체험형 프리 쇼를 본인의 연구작품에 적용해 전체적인 개요와 프로세스, 테마에 대해 설명하며 시놉시스와 이에 따른 공간연출, 미디어 콘텐츠 배치계획과 동선계획 등 실제 구현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제시한다. 프로토타입은 <젤다의 전설>게임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만큼,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메커니즘을 파크에 적용해 방문객에게 ‘역할’을 부여하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다양한 어트랙션을 체험하는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고 있다. 가상의 세계를 직접 현전하는 듯한 이러한 높은 몰입감은 새로운 감각성을 활용한 테마화된 유희공간에서 방문객들이 다채로운 비일상성을 느끼게 될 것으로 사료한다. 또한 기존의 프리 쇼 단계에서는 대기 동선을 단순히 관람하며 지나가는 방식 등 소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할 수 있는데, <젤다의 전설> 테마구역처럼 프리 쇼 단계에 광대한 인터랙티브 체험을 구축한다면 방문객과 어트랙션 체험의 상호작용성에 있어 좀 더 많은 접점을 유도할 수 있다. 무엇보다 프리 쇼에서 경험하는 방문객들의 개별 스토리들이 파생되며 하나의 복합적인 참여 문화로서 테마파크에서의 새로운 체험 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향후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테마파크 어트랙션의 체험형 프리 쇼로부터 도출된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성에 대해 정리하며 앞으로의 후속 연구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망하는 기회를 마련한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into the new approaches of the pre-show during the waiting stage before boarding attractions at theme parks for the main show and visitors through interactive storytelling.
Theme parks are hogging the limelight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every year. In other words, visitors will be able to experience more immersive and extraordinary experiences through limitless virtual attractions with infinite imagination and the reality attractions of dynamic movement in the future. For visitors to experience extraordinary experiences on a specific topic based on themes,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s of storytelling, namely pre-show, main-show, and post-show, are essential. The 3-act structures are systematized and are administered as a series of activities like a story while the visitors experience and enjoy the attractions in the theme park. For visitors to experience perfect utopian experiences in the theme parks, the 3-act structures of theme parks should be planned in a balanced manner.
Hence, among the 3-act structures, the study centers on the pre-show stage,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experiencing the narrative of what the story attempts to convey by helping the immersion in the main show. It is also where visitor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theme park. Moreover, by referring to Henry Jenkins' Transmedia Storytelling Theory, the story explores the participatory types of storytelling and cases that have expanded to theme parks. Based on this, the study aims to incorporate transmedia storytelling methodology to form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pre-show and main show by exchanging narratives with the visitors from beginning to end. In addition, the research examines the selected cases with three types of analysis criteria to identify how theme parks can provide immersive functions to visitors as creative amusement parks. It also discusses how a complete narrative structure can be positively applied and lead to a return visit with high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e visitors have new immersive experiences around storytelling based on interactivity. Along with the case analysis of content operated around the existing interaction structure, the study identifies the status of various works and sets directions for experiential pre-show using interactive storytelling.
Lastly, applying the desired experiential pre-show to one's research work, the study explains the overview, process, and theme. Furthermore, it presents the prototype of the actual implementation, such as synopsis and its space planning, media content layout plan, and movement flow plan. The prototype is based on the game content "The Legend of Zelda." By applying the open-world action-adventure mechanism to the park, the visitors are given "roles," and they are provided much freedom to experience various attractions as they want. The high immersion of the virtual world close to reality is believed to provide visitors with a colorful, extraordinary experience in a thematic amusement park using new sensibilities. Also, the existing pre-show stage used a passive watching method as visitors passed the waiting line. However, if a vast interactive experience is established in the pre-show stage, like a theme area, it will lead to higher interactivity of visitors and attraction experience. Above all, it will create visitors' individual stories from the experience in the pre-show, and it will be positioned as a new experiential content in the theme park as a multi-participatory culture. Furthermore, it presents the interactivity of the visitors derived from the experiential pre-show of theme park attractions using interactive storytelling and serves as an opportunity to predict paradigm for the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비고 : MMA-24.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