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Information Related Variables
  • 저자명|Ji Young Lim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김용찬

주제어

health literacy ; social capital ; bonding social capital ; bridging social capital ; health outcomes ; health information seeking

국문초록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10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정보관련변인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알아본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 첫째,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사회자본이 건강정보자아효능감, 건강정보추구의도, 건강정보이용범위, 그리고 건강상태에 미치는 각각의 주 효과를 평가한다. 둘째, 결속력 사회자본과 교략적 사회자본이 각각의 건강정보관련변인들과 건강상태에 어떻게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셋쨰,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정보관련변인들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넷째,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정보관련변인들의 관계를 결속적 사회자본과 교량적 사회자본이 어떻게 다르게 조절하는지 알아본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건강정보관련변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사회자본이 얼마나 보완 또는 완화하는지 파악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보완적 효과에 미치는 결속적 사회자본과 교량적 사회자본의 상대적 중요성과 차이를 파악하여, 겅간정보이해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자본의 양도 낮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을 더욱 구체화 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r\n국립암센터의 지원을 받아 리얼미터 조사기관을 통해, 서울에 거주하는 1000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11 10월 4일부터 17일까지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의 연력은 20세 이상 80세 미만이었으며, 각 연령대를 20%씩 포함하도록 할당 표집하되, 20~30대 응답자는 합하여 20%로 할당하였다. 학력 수준에 따라, 고졸 미만 40% 고졸 이상 대제 미만 30% , 그리고 대제 이상 30%로 할당 표집하였다. 서울을 4 지역으로 나눠 강남서, 강남동, 강북서, 강북동 지역의 통계청의 구빈등록 인구 비율로 할당 표집하였다.\r\n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는 첫째, 응답자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을수록 건강정보이용범위가 넓고, 건강정보자아효능감이 높으며, 자신의 건강상태를 더 좋게 평가했다. 둘째, 더 많은 사회자본을 가질수록 건강정보이용번위가 넓고, 건강정보추구의도와 건강정보자아효능감이 높으며, 자신의 건강상태를 더 좋게 평가했다. 셋째, 결속력 사회자본과 교략정 사회자본은 둘 다 건장정보이용범위, 건강장보추구의도, 그리고 건강정보자아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자가 측정된 건강상태에는 오직 교량적 사회자본만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반적으로 교량적 사회자본보다 결속적 사회자본의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자본의 보완적 조절효과는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정보추구의도의 관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량적 사회자본은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정보추구의도의 관계에서 유의미란 보완적 조절효과를 보였다.\r\n본 연구결과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여전히 건강정보관련변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증한다. 비록 높은 사회자본이 건강이해능력 수준이 낮은 개인에게 부족한 자원을 보완해줄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문제를 극복시켜주는 완절한 해결책은 아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나타난 사회자본의 보완적 조절효과는, 건강정보추구의도와 건강정보자아효능감에 미치는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사회자본이 갖는 완충적 기능을 분명히 보여준다. 또한 결속적 사회자본과 교량적 사회자본이 서로 다른 건강정보관련변인에 대한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영향을 보완한다는 결과는, 자아효능감과 정보추구의도에 각기 다른 사회적 지지가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에 따른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부각한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 capital, specifically bou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might attenuate the impact of low functional health literacy on the number of health information sources used, health information-seeking intention, health information self-efficacy, and self-rated health. We tested moderation models about the roles of the amount and types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 between low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health information related variables. We found that respondents' functional health literac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number of health information sources used, health information self-efficacy, and self-rated health.\r\nRespondents' social capital had positive impacts on the number of health information sources used, health information-seeking intention, self-efficacy and self-rated health. \r\nThe amount of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both had positive effects on the number of health information source used, health information-seeking intention, and self-efficacy; however, only bridging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rated health. The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information self-efficacy, and a moderation effect of bonding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information-seeking intention.

비고 : COM-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