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메시지 프레이밍과 근거자료유형에 따른 설득효과 연구
  • 저자명|신은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김용찬

주제어

메시지 프레이밍, 이익 프레이밍, 손실 프레이밍, 근거자료유형, 내러티브, 통계적 형식, 설득효과, 금연태도, 금연의도

국문초록

본 논문은 금연광고의 메시지 유형에 따른 설득효과의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메시지 프레이밍과 근거자료유형에 따른 흡연자들의 금연태도와 금연의도를 측정하였다. 메시지 프레이밍은 금연으로 인한 이익을 강조하는 이익 프레이밍과 흡연으로 인한 손실을 강조하는 손실 프레이밍으로 구분하였다. 근거자료유형은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내러티브와 연구결과의 통계수치를 바탕으로 하는 통계적 형식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흡연자 200명의 유효한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ANOVA와 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r\n연구결과,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른 설득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즉, 이익 프레이밍과 손실 프레이밍 메시지에 노출된 피험자 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근거자료유형에 있어서는 내러티브와 통계적 형식에 따른 설득효과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내러티브가 통계적 형식보다 설득에 효과적이었다. 메시지 프레이밍과 근거자료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r\n본 연구에서는 메시지 프레이밍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결과와는 달리 프레이밍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근거자료유형에 따른 설득효과의 차이는 검증되었다.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간과되었던 근거자료유형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해 준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향후 메시지 전략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인 메시지 구성을 제시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영문초록

This paper examines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ersua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message in anti-smoking advertisements. For this purpose, smokers’ attitudes toward anti-smoking and their intentions to anti-smoking were measured based on message framing and types of evidence. Message framing was further divided into gain-framed messages, which emphasize the gains from not smoking, and loss-framed messages, which emphasize the loss. The types of evidence were further divided into narrative form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and statistical forms based on statistics from research results. Valid data from 200 smoker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and ANOVA and ANCOVA wer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analysis.\r\nThe results of the research did not verify the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message framing. In other 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 groups exposed to gain-framed messages and loss-framed messages. With the types of evidence,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suasion effect depending on whether narrative or statistical forms were used, with narrative forms being found to be more persuasive.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between message framing and the types of messages.\r\nUn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message framing, no framing effect occurred in this study. However, the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the types of evidence was verified. This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types of evidence, which had been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used to suggest message compositions which will be effective in establishing a message strategy.

비고 : COM-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