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한국과 미국 신문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보도 비교 연구
  • 저자명|한송이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윤영철

주제어

재난 보도, 뉴스 프레임, 재난 사진 분석, 내용 분석, 질적 분석

국문초록

뉴스는 수용자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한 여러 가지 국내외 사건들을 다룬다. 이 때 뉴스는 기본적으로 있는 그대로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보도해야 하지만, 현실에서의 뉴스는 제작, 전달 과정에서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수용자 들은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재구성되고 틀 지워진 프레임(frame)을 통해 세상의 단면 을 보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미디어가 특정 사건을 어떻게 보도하는가는 매우 중요 한 문제이다. 현대사회에서 대중들은 자신의 직접적인 경험보다 미디어가 구성한 틀 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현실을 인식하게 되기 때문이다.\r\n이에 따라 본 연구는 뉴스가 현실 그 자체가 아닌 언론에 의해 구성된 현실로서 독 자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사건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프레임을 제공한다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한다.\r\n2011년 3월 11일 일본의 동북부 지역을 강타한 규모 9.0 강진으로 일본은 큰 피해 를 입었다. 강한 지진의 여파로 대형 쓰나미가 발생해, 피해규모에 있어서 전 세계를 경악하게 했다, 수많은 사망자와 실종자를 냈으며, 후쿠시마 제 1원전과 제 2원전의 냉각 시스템에도 문제가 생겼으며, 방사능 물질이 유출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일어 났다. 세계 어느 나라보다 지진에 가장 완벽한 대처방법을 가지고 있는 일본이지만, 이번 지진은 피해규모가 너무 커서 위상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번 대지진은 전 세계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커다란 비중과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일본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r\n이에 본 연구는 전 세계의 관심을 얻고 있는 이번 재난 사태에 대해 우리나라와 미 국의 언론이 어떠한 프레임으로 재난 현실을 보도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동일본 대지진 관련 신문보도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중앙일보> 와 의 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한미 두 신문이 동일본 대지진을 어떻게 보도했 는지 비교해 본다는 것은 두 신문이 얼마나 같거나 다른 모습으로 보도했는지를 알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두 나라의 신문이 어떤 사고의 틀(보 도프레임)로 '동일본 대지진'이라는 현실을 구성했는지를 분석하고, 프레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신문 뉴스기사와 사진의 보도행태도 포 함하여 전반적으로 모두 연구하였다.\r\n위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r\n<연구문제 1>. 한국과 미국 신문의 "동일본 대지진"에 대한 신문 뉴스의 보도행태는 어떻게 다른가?\r\n<연구문제 2>. 한국과 미국 신문의 "동일본 대지진"에 대한 신문 뉴스에 관한 기사에 드러난 프레임은 어떻게 다른가?\r\n<연구문제 3>. 한국과 미국 신문의 "동일본 대지진"의 사진 이용행태는 어떻게 다른가?\r\n분석결과, <연구문제 1>에서는 <중앙일보>가 보다 약 두 배 많은 보도량을 보여주었다. 또한 보도형식적인 부분에서도 <중앙일보>가 에 비해 시각적으로 더 다양한 시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중앙일보>는 지진 피해에 관한 내용이 전체의 28% 를 차지하며 가장 높게 기사화 시킨 반면 는 원자력과 방사능의 기사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헤드라인에 사용된 형용사를 살펴본 결과, <중앙일보>가 에 비해서 부정적 형용사든, 긍정적 형용사든 더 다양한 형용사를 사용한 것 으로 나타났다. 정보원 측면에서는 는 <중앙일보>보다 약 5배 이상 많은 정보 원을 한 기사에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의 유형은 와 <중앙일보> 모두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앙일보>의 경우 '시민/단체/일반인 '의 정보원을 많이 활용하였으며, 는 자국 내의 '학자/전문가'를 정보원으로 사 용하였다. 또한 <중앙일보>와 모두 '실명 개인 정보원'의 활용을 가장 많이 하 였으나, '익명 개인 정보원'의 경우 <중앙일보> 가 보다 약 4배가량 많았다.\r\n<연구문제 2>에서는 반다이크의 주제구조를 통한 분석을 통해 총 5개의 보도프레 임을 도출하였다. <중앙일보>는 주민들의 피해대응 프레임, 타국의 지원 프레임, 파급 효과 프레임, 원자력&방사능 문제분석 프레임, 재난피해규모 프레임 순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는 원자력&방사능 문제분석 프레임, 파급효과 프레임, 재난피해규 모 프레임, 주민들의 피해대응 프레임 그리고 타국의 지원 프레임으로 나타났다.\r\n<연구문제3>은 보도사진의 행태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각국의 언론사 모두 지진 피해 사고현장 사진을 비중 있게 보도하였고, 사진의 출처는 는 세계 유수의 다양한 언론사의 사진을 고루 이용한 반면에, <중앙일보>는 오직 AP의 사진을 과반 수 넘게 사용하면서 편향적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사진의 선정성 부분에서는 가 <중앙일보>에 비해서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사진을 더 많이 보도하였다.\r\n본 연구는 '재난' 보도에 대한 국내 보도의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국내 언론과 미국 언론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재난은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는 매 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재난사고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언론의 재난보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r\n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본 대지진을 보도한 <중앙일보>와 의 보도양상 은 전반적인 보도의 모습과 세부적인 프레임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상당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는 오늘날 한국의 재난보도에 대한 성찰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한국언론 이 재난보도를 함에 있어서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서도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재난보도 연구의 다양성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한다.

영문초록

News media deals with many global events, which readers do not experience directly. In this sense, news media should be focused on reporting the events objectively, however in reality the news itself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arising during the processes of production and delivery. The subscriber then sees a cross-section of the world through a framework reconstructed and interwoven by these factors. Thus, how the media reports a particular event is a very important issue. Modern society looks at the world and becomes aware of its reality through the framework configured by the media rather than from direct personal experience.\r\nThus, this study is approached from the constructivist's perspective that news is not the reality itself but configured by the press, whose role is to provide a frame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the events that readers have not experienced.\r\nIn March 11, 2011, Japan suffered tremendous damage from the scale 9.0 earthquake which struck the northeastern region of the country. A large tsunami occurred as the aftermath of this earthquake and the extent of the damaged caused surprised the rest of the world.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deaths and missing people, as well as a problem in the cooling systems of both the Fukushima No. 1 nuclear power plant and a second nuclear power plant which caused radioactive materials to be leaked. This was an unprecedented event and came as a shock to the world. Japan has more experience in countering the effects of earthquakes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but the extent of damage from the earthquake was enormous to the point as to affect the country’s economy.\r\nIn addition, the earthquake caught the attention of the world because this incident occurred in Japan, a nation which has great influence on politics, economy,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world.\r\nThis study will examin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and US press reported the reality of the disaster. In order to conduct the examination, the contents of articles from Joongang Daily, a Korean newspaper, and The New York Times, an American Newspaper will be analyzed and compared. Comparison of how the two nation's medias reported this devastating earthquake in Japan is necessary in order to show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way in which they reported the incident, which will include the analysis on what news frame of thought they configured the reality of the eastern Japan earthquake and the way in which influencing factor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is fram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both the literary content of articles as well as their accompanying photos.\r\nBased on the abo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r\n<1. Research Topic> How different is the behavior of the newspapers in South Korea compared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in reporting Japan’s earthquake?\r\n<2. Research Topic> How different were the frames revealed in the two nation's newspaper articles in reporting the earthquake?\r\n<3. Research Topic> How different were the usage patterns of photos used in the newspaper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r\nAnalyzed result for the <1. Research Topic> showed that the Joongang Daily published approximately twice as many articles about the Japanese Earthquake as the New York Times and used more diverse styles in the visual part of its reporting when compared to the New York Times.\r\n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article. For example, the Joongang Daily focused more on highlighting the damage caused by the earthquake which accounted for 28 percent of the total\r\ncontent of its articles, whereas the articles in the New York Times focused mainly on the nuclear and radioactive leakage.\r\nIn examining the adjectives used in headlines, the Joongang Daily used more adjectiv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than the New York Times. In terms of sources of information in articles regarding the earthquake the New York Times used approximately five times as many sources than the Joongang Daily. The type of source used also differed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Joongang Daily mainly utilized sources from organizations, civil and public sources, whereas the sources used by the New York Times were mostly from domestic scholars and experts. Both the Joongang Daily and the New York Times used non-sourced personal informants, however Joongang Daily used approximately four times as much compared to the New York Times.\r\nFor <2. Research Topic> a total of five reporting frames were drawn by using the Vandyke's topic structure analysis. Joongang Daily's frame appeared in the order of resident's corresponding with damage frame, other country's support frame, the ripple effect frame, nuclear & radiological problem analysis frame and the disaster damage scale frame. The order of frames used by the New York Times however were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nuclear & radioactive analysis frame, the ripple effect frame, disaster damage scale frame, resident's damage corresponding ability frame and the support from other countries frame.\r\n<3. Research Topic> was to analyze the behavior of photographs used. The media of both countries focused heavily on showing photos of the damage caused by the earthquake. In terms of the sources of the photos, the New York Times used pictures sourced fairly evenly from various world media sources, while the Joongang Daily showed a more biased attitude by sourcing more than half its photos from AP'. In analyzing the sensational aspects of the photographs used, the New York Times published more suggestive and stimulating pictures compared to those used by Joongang Daily.\r\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differences between the domestic press and the US media on the reporting of the disaster. The preparation for disaster is understandably very limited as natural disasters often occur very unpredictably. Therefore, when these situations do occur,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that media coverage of the disaster does what it can to prevent and minimize the damage caused. Joongang Daily and the NYT's pattern of reporting the East Japan\r\nEarthquake was examined through overall coverage and detailed frame analysis and the resul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s provides a reflection on the way in which the disaster was reported in modern South Korea, and will present the preferred direction for Korean press media in covering disaster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seen worldwide in reporting this disaster, and guidelines for the reporting of disasters in the future.

비고 : COM-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