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SNS상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 저자명|이지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강상현

주제어

보호동기이론, 프라이버시, 자기표현욕구, 인스타그램,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privacy, self-expression desire, instagram

국문초록

본 연구는 SNS 상의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행동 실천 의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개인의 사적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이 더욱 쉬워졌으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SNS에서는 이러한 개인정보의 도용 문제가 더욱 크게 대두된다. 특히 매체의 특성상 프라이버시 침해에 취약하지만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매체인 인스타그램을 연구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SNS 상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해 좀 더 넓은 이해를 가능하도록 한다.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과 보호행동 실천 의도를 살펴보기 위해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서 제시된 개념들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보호동기이론에 의하면 개인이 유해한 상황에 처하였을 때, 상황에 대한 인지적 평가과정(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반응 효능감, 자기 효능감, 반응비용, 보상)이 작용하여 상황에 대한 보호동기를 자극하고, 이는 나아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려는 의도를 유발시킨다. 위의 보호동기이론에서 인지적 평가과정의 여섯 요인 중, 반응비용을 제외한 다섯 요인을 적용하여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반응 효능감, 자기 효능감, 그리고 보상은 모두 프라이버시 보호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프라이버시 보호인식은 나아가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성향인 자기표현욕구를 프라이버시 문제들과 함께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자기표현욕구와 프라이버시 관련 개념들은 서로 정적인 관계를 보이기도, 부적인 관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정적인 관계가 도출되었다. 말인즉슨 자기표현욕구가 높은 이용자들은 높은 정도의 프라이버시 보호인식이나 보호행동의도를 보였다는 것이다. 또한 인스타그램 내에서의 행위와 관련하여 자기표현욕구가 강한 이용자들은 해시태그 작성과 셀피 게재 행위를 더욱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행위는 모두 자기표현적 행위에 해당하지만 프라이버시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미묘한 의미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초록

비고 : COM-16-12